18.225.54.180
18.225.54.180
close menu
KCI 등재
민족과 사회의 공(公)적 기관이라는 연극관의 탄생 ― 192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에서의 쓰보우치 쇼요의 연극론 수용을 중심으로 ―
the Birth of a Theater Called the Public Agency of the Nation and Society ― Focusing on Tsubouchi Shoyo’s acceptance of theatrical theory in colonial Joseon in the early 1920s ―
김동현 ( Kim¸ Dong-hyun )
DOI 10.22273/SMLT.93.1
UCI I410-ECN-151-24-02-088860560

이 글은 쓰보우치 쇼요(坪内逍遥)와 192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에 발표된 일련의 연극론 사이의 영향관계를 바탕으로, 192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의 연극론을 재검토하였다. 쓰보우치 쇼요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대내외적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퍼시 맥케이(Percy Mackaye)의 연극론을 ‘발견’하였다. 이는 퍼시 맥케이의 연극론을 수용한 것이 아니라, 일련의 시대 변화 속에서도 자신의 연극론을 보완함과 동시에 그 논리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물이었다. 그렇기에 쓰보우치 쇼요는 퍼시 맥케이의 「극장과 연극」을 기반으로 「민중교화와 연극」을 서술하였지만, 퍼시 맥케이의 연극론과 상이한 모습을 보인다. 이는 두 사람의 연극관과 공(公)·사(私) 개념에 대한 근본적인 차이로 인하여 발생한 현상으로, 그 결과 민중교화와 연극 은 그 구체적인 실천 방안은 결여된 채 연극은 마땅히 국가와 사회의 공적 기관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글이 되었다. 윤백남은 1920년 전후의 식민지 조선이라는 맥락 속에서 쓰보우치 쇼요의 「민중교화와 연극」을 바탕으로 자신의 연극론인 「연극과 사회」를 발표하였다. 이는 이후 현철, 김정진, 김우진 등 쓰보우치 쇼요의 영향 속에서 192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에 발표된 일련의 연극론과 맞물리면서, 연극은 사회의 공적 기관이라는 믿음과 함께 조선 사회 혹은 민족 전체가 사회와 민족을 위해야 한다는 인식을 만들어냈다. 그런데 여기에는 정작 ‘현 조선 사회를 위한 연극’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은 결여되어 있었다. 쓰보우치 쇼요의 연극론을 기반으로 하면서, 작품이나 공연의 수준에 상관없이 연극인의 인격과 예술가적 양심이 중요하게 강조되었다. 그리고 ‘예술’로서 조선인 관객의 마음에 작용할 수만 있다면, 자연스레 교화의 효과가 발생할 것이고, 조선 사회에 기여할 것이라는 믿음을 만들어냈다. 나아가 식민지 조선의 관객들에게 마음의 눈으로 연극을 바라보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인식을 만들어냈다.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subouchi Shoyo’s theater theories and a series of theater articles published in colonial Joseon in the early 1920s. Based on the relationship, this paper reexamined the theatrical theory of colonial Joseon in the early 1920s. Tsubouchi Shoyo discovered Percy Mackaye’s argument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global changes after World War I. It was not an acceptance of Percy McKay’s theory, but a result of supplementing his own theory according to the changes. As the result, Although Tsubouchi Shoyo referred to Mckay’s book, his writings only emphasized the necessity that theater is a public institution at the national level, with no concrete action plan. This is because there was a fundamental difference not only in the two people’s view of theater, but also in their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public and private. In the context of colonial Joseon around 1920, Yoon Baek-nam published his theatrical theory, “Theater and Society”, based on Tsubouchi Shoyo’s “People’s Osmosis and Theater.” Along with a series of theater articles submitted under the influence of Tsubouchi Shoyo, such as Hyeon Cheol, Kim Jeong-jin, and Kim Woo-jin, it created a belief that theater was a public agency of society and a perception that it was a ‘service’ or ‘movement’ carried out together by Joseon society and nation. This led to the nationalwide spread of the theater movement, but there was a lack of concern about what theater was for Joseon society. It was because there was a belief that any play, as long as it was performed as an art, would naturally generate a osmosis effect and contribute to Joseon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 and artistic conscience that an artist should have were emphasized as important. Furthermore, it created the perception that the audience in colonial Joseon should look at the play with the eyes of the mind and actively interpret it.

1. 들어가며
2.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공(公)적인 연극이라는 당위성
3. 사익을 추구하는 연극에 대한 부정과 연극인의 인격 강조
4. 연극은 사회의 공적 기관이라는 믿음의 탄생: 결론을 겸하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