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9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의 정신건강 프로파일 유형 분류 및 아동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 차이 비교

목적 본 연구는 부모 단위에서 정신건강 관련 변인들의 응답에 기초한 다양한 프로파일 유형을 분류하고, 이러한 부모의 정신건강 프로파일 유형별 아동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내 1,071명의 아동과 그 부모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이자 잠재프로파일분석(dyadic 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부모의 정신건강 프로파일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3단계 접근법(three-step approach)을 통해 부모의 정신건강 프로파일 유형별 아동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이자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부모의 정신건강 프로파일 유형을 분류한 결과, 총 4가지의 유형(부부 패턴 불일치-모 취약형, 부부 패턴 일치-부모 취약형, 부부 패턴 불일치-부 취약형, 부부 패턴 일치-부모 안정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부모의 정신건강 프로파일 유형별 아동의 내재화 문제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부부 패턴 불일치-모 취약형과 부부 패턴 일치-부모 취약형의 아동은 타 유형에 비해 내재화 문제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정신건강 프로파일 유형별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부부 패턴 일치-부모 취약형의 아동은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부모의 정신건강 프로파일 유형을 다면적으로 파악하여 부모의 정신건강이 아동의 문제행동 간 관련성에 대해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아동의 문제행동 완화를 위한 부모의 정신건강 증진 개입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different profiles based on the indicators of mental health at parental level and find out differences in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by subtypes of parental mental health profile. Methods Survey data of 1,071 children and parents from the 12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in 2019 were used for the analyses. Dyadic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sed for classifying subtypes of parental mental health profiles, and Three-step approach was used for testing differences in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by subtypes of parental mental health profiles. Results First, Four subtypes(‘pattern mismatch-vulnerable mother’, ‘pattern match-vulnerable parents’, ‘pattern mismatch-vulnerable father’, ‘pattern match-stable par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dicators of parental mental health.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pattern mismatch-vulnerable mother’ and ‘pattern match-vulnerable parents’ were higher than other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pattern match-vulnerable parents’ was the highest in externalizing behavior.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implications i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mental health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 by exploring subtypes of parental mental health profiles in a multifaceted manner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parental mental health to attenuat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