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만 5세 유아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유아 수학교육 의미와 요구

목적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 어머니들의 수학교육 지도 현황과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고,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수학교육의 의미와 수학교육을 위한 어머니들의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개인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심층면담은 총 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면담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고, 주제별로 분석화하였으며,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 의한 삼각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만 5세 유아 어머니들은 유아기 수학교육의 목적을 초등학교 대비를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수학교육의 방법으로 일상생활에서 놀이와 수학 동화, 게임 등을 활용하는 놀이식 수학교육과 방문형 학습지, 수학 학원 등의 사교육에 의존하는 수학교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지 숙제를 하는 과정에서 어머니들은 자녀가 학습 태도와 습관을 형성하길 원하고 있었지만,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유아도 있었다. 그리고 연산, 사고력 수학, 스토리텔링 수학에 대해 혼란을 느끼며, 수학교육을 위해서는 문해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수학교육을 할 때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서 1년 정도의 선행학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수학교육을 위해 어머니들은 유아기 수학교육의 수준 및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 제시와 유아교육기관에서 하는 수학교육에 대한 정보 제공, 그리고 수학교육을 위해서는 유아, 부모, 교사의 협력을 요구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수학교육의 의미와 실제, 그리고 교육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유아수학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difficulties of mathematics education guidance for mothers aged 5 years old,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others' needs for mathematics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10 mothers of 5-year-old infants living in Seoul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personal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ver a total of two sessions. For data analysi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repeatedly read, coded for each topic, and triangular verification was conducted by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Results Mothers of 5-year-olds recognized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s preparation for elementary school. As a method of math education, it was found that play-type math education using play, math fairy tales, and games in daily life, and math education that relies on private education such as visiting study materials and math institutes. In the process of doing homework for the study paper, mothers wanted to form learning attitudes and habits, but some infants experienced stress. And mothers feel confused about math, thinking, and storytelling math. It was recognized that literacy should be the basis for mathematics education. When providing math education, mothers were found to be based on math subjects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o have a prior study of about a year. For desirable math education, mothers required specific guidance on the level and content of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information on math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cooperation between infants, parents, and teachers for math educ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y grasping the meaning, practice, and difficulties of education recognized by mother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