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0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목적 본 연구는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로 살아가고 있는 연구참여자들의 삶에 주목하여 그 속에 담겨 있는 심층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지속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경험 속에 내재된 의미를 찾아가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를 위한 자료 수집 방법으로써 D광역시에 소재한 중등학교에 기간제 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총 3명(남2, 여1)의 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각 2회 실시하였다. 결과 심층 면담 자료의 분석을 통해 구성한 현장 텍스트에서는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공통된 삶의 경험으로 ‘중등교원 임용시험 공부로부터의 벗어남’, ‘경제적 부담감’, ‘고용에 대한 불안’, ‘부모님이 느끼는 불안함’, ‘사회 제도로부터의 소외감’, ‘직업과 삶을 분리하기’, ‘계속해서 살아가기’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삶의 경험을 다시 개인적, 사회적, 실제적 의미의 연구텍스트로 분석하였으며, 학술지의 특성상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텍스트로 제시된 다음의 결과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삶의 의미는 개인적 의미에서 ‘떼어낼 수 없는 불안이라는 뫼비우스의 띠를 걸어감’, 사회적 의미에서는 ‘가족 공동체로 불안이 전염되다’, ‘도처에서 마주하는 소외와 갈등, 무관심에 상처입다’, 실제적 의미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간제 교사와 나를 분리하며 주체적 삶을 살고자 노력하다’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삶에 대한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epth meaning contained in the lives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living as fixed-term secondary school teachers. Methods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hich seeks the meaning inherent in the experience through the process of continuousl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applied to this study. For this purpose,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each for narrative inquiry with a total of 3 teachers (2 males and 1 female) working as fixed-term teachers at a secondary school located in Metropolitan D city. Results In the field texts constr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the common life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fixed-term teachers are ‘Escape from studying for secondary teacher appointment exam’, ‘economic burden’, ‘Anxiety about employment’, ‘Anxiety felt by parents’, ‘a feeling of alienation from social institutions’, ‘separating work and life’, and ‘continuing to live’ were derived. The life experiences of these secondary school fixed-term teachers were again analyzed as research texts with personal, social, and practical meanings. The meaning of life of secondary school fixed-term teacher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s ‘walking the Mobius strip of inseparable anxiety’ in the personal sense, ‘anxiety is transmitted to the family community’ in the social sense, ‘the I was hurt by alienation, conflict, and indifference’, and in a practical sense, it was ‘Nevertheless, I tried to live an independent life by separating myself from the fixed-term teacher’.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secondary school fixed-term teachers' live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Ⅰ. 내러티브를 시작하며

Ⅱ. 연구 방법

Ⅲ.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삶에 관한 3가지 의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