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지시 화행 분석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윤미라(2020)에서의 지시 화행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출판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지시 화행 수행 양상과 공손을 위한 헤지 문형을 분석하고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8년 이후에 출판된 3종류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선택하였다. 이들 교재는 모두 초 중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7권이다. 이 교재들을 분석하기 위해 지시 화행의 하위 유형의 개념을 정리하고 맥락 요인을 바탕으로 지시 화행의 하위 유형의 직간접성과 자주 사용된 공손 전략 및 헤지 문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최근 출판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는 직장 내 업무 담화에서 상사는 지시 화행의 하위 유형인 명령 화행을 주로 사용하였고 요청, 제안, 충고와 같은 다른 하위 유형의 화행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한편 부하 직원이나 동료 사이에서의 담화에서는 지시 화행 하위 유형들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교재의 담화 구성 자체가 상사의 담화 위주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비즈니스 교재에서 사용된 지시 화행 공손 전략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담화가 상사의 발화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자 지향적 전략에 해당하는 헤지 문형인 ‘-(으)세요’와 ‘-어/아 주세요’를 여전히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부하 직원이나 동료 사이에서의 담화에서는 다양한 맥락과 상호 작용 목적에 따른 지시 화행 발화의 수가 적었기 때문에 윤미라 (2020)에서 조사된 부하 직원이나 동료들의 지시화행 공손 전략들을 살펴보기 어려웠다. 결론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서는 상호 작용 목적에 따른 부하 직원과 동료 사이에서의 직장 내 업무 담화 구성을 확대하고, 다양한 지시 화행의 하위 유형의 사용, 공손 전략 및 헤지 문형을 다룰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서 친밀함의 정도와 업무의 부담 정도와 관련된 지시 화행 수행과 지시 화행에 대한 교육적 방안은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들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aspect of directive speech act and hedging sentence patterns for politeness according to power relations through the discourse analysis of the Business Korean textbooks and suggests the ways of improving Business Korean textbooks. Methods This study chose three kinds of Business Korean textbooks published after 2018. These textbooks are composed of basic levels and intermediate levels. To analyze these textbooks, this study classified subtypes of directive speech act at first and then arranged the performance aspect of directive speech act according to the context variables and the aspect of the use of hedging sentence patterns for politeness in directive speech act.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Business Korean textbooks published after 2018 are mainly composed of dialogues related to boss’ directive speech act. For this reason, the textbooks mainly dealt with boss’ command among subtypes of directive speech act. And hedging sentence patterns of ‘-(으)세요’와 ‘아/어 주세요’ were most commonly utilized in boss’ command speech act. But, subordinate and coworkers’ dialogues and directive speech act in the workplace were very little descried in the textbooks. Various politeness strategies and hedging sentence patterns are seldom used in Business Korean textbooks. Conclusions In the future, Business Korean textbooks have to deal with various directive speech act dialogues according to the power relation. And they have to use various kinds of politeness strategies and hedging sentence patterns for Business Korean learners. But this study did not suggest educational methods for directive speech act. In short, how to deal with directive speech act in Business Korean textbooks will be discussed in a follow-up study.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힘의 관계에 따른 지시 화행 수행 양상과 헤지 문형

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