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796.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이민자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13-2019년 국내 발간 논문을 중심으로

  • 386

본 연구는 국내 이민자 교육에 관하여 2013년부터 2019년 7월까지 출간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총 102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이민자교육의 자료 제공과 발전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문 선정을 위해 주제어 검색을 통하여 이민자 교육에 관한 논문을 1차적으로 선정한 후, 학위논문과 학술지 중복자료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분석대상을 확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도별, 학문적 배경, 연구대상,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고, 분류된 자료는 EXCEL 20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이민자 교육의 연도별 연구동향은 2013-2014년도에 최다 연구물의 출간을 보이며 급증한 후 연도에 따라 변화를 보이고 있다. 연구분야의 학문적 배경은 학위논문에서는 교육학 영역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인문학, 사회학 순으로 나타난 반면, 학술논문에서는 인문학이 가장 많고 교육학, 사회학 순으로 출간되었다. 연구대상별 분석에서는 대다수 결혼 이민자 연구 특히 여성이민자 연구가 다수를 이루었고, 이민자 자녀 및 남성이민자 교육에 관한 연구는 소수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는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문화교육, 부모교육 등에 관한 연구는 적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 증가하고 있는 이민자 교육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며, 한국어 교육 및 한국문화 전달 중심의 이민자 교육에서 더 나아가 종합적이고 문화반응적인 이민자 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102 dissertations an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3 and July 2019 on domestic immigrant education. Also current study was investigated to suggest the provis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immigrant education. After selecting the research studies on immigrant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 search for selection, the analysis subject was finally determined by excluding dissertations and the duplicated journal articles.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year, academic area,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opics. The classified data were calculated using the EXCEL 2010 program. As a result, the research trend of immigrant education by year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 publications in 2013-2014, and it has been changing year by year. The academic area of the field of study was more than half of education areas in the dissertations, followed by humanities and sociology, whereas research articles were published most frequently in the humanities. In the analysis by subjects, the majority of immigrant education studies, especially female immigrant studies, were found, and a few studies on immigrant children and male immigrant education. The research topics were mainl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but little on cultural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on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in South Korea, an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a suggestion for comprehensive and culturally responsive immigrant education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