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458.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영어수업 만족도와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이 고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반고와 특목고의 비교

  • 398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와 어문계열 특목고 학생의 영어학습 실태를 파악하고, 학교 유형에 따라 학교영어수업 만족도와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이 영어학습 동기와 영어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 경기, 충청, 경상, 강원지역의 일반고 5곳과 특목고 4곳에서 1, 2학년 학급을 무선 표집하여, 일반고 학생 283명과 특목고 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와 특목고 학생의 영어학습 관련 변인에 차이가 있었다. 영어학습 및 영어사교육 시작 시점, 영어권 해외경험, 유형별 영어학습 시간과 같은 영어학습 경험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영어수업 만족도, 통합적 영어학습 동기, 영어학습 행동은 특목고 학생이 일반고 학생보다 높았지만,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은 일반고 집단에서 더 높았다. 둘째, 학교영어수업 만족도, 부모의 학업성과압력, 영어학습 동기가 영어학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두 집단 간에 달랐다. 통합적 동기는 일반고 모형에서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이 영어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였지만, 특목고 모형에서는 학교영어수업 만족도가 영어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교육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effects of school English instruction and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o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behavior between general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283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235 special-purpose high schools students from five general high schools and four special-purpose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eongsang, and Gangwon district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high school entrance between general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 Second, the paths that satisfaction with school English instruction and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had effects on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behavior were different between two types of school. Third, integrative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on English learning behavior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ile integrative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school English instruction on English learn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establish educational policy to guarantee learning rights of students with different needs.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문제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