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414.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기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史的 고찰

『마포삼열 자료집』을 중심으로

  • 89

본 연구는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내용을 한국어 교육사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최근 공개된 마포삼열의 서신들과 <한국어 시험 위원회> 보고서, 그리고 기타 자료들이 정리되어 책으로 출간된 『마포삼열 자료집』에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능력 평가’ 점수 및 내용이 비교적 소상히 기록되어 있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지 못했던 선교사 개인의 평가 점수와 그 내용까지 표시되어 있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의 내용 및 평가 방식 등을 논의하는 데에 기준점으로 삼거나 근대 한국어교육의 역사적 기록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마포삼열 자료집』의 기록들 중에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부분을 상세히 살펴 마포삼열 선교사가 2년 차 되던 시기인 1891년 문답 형식으로 치러진 시험 방식 전체 과정, 그리고 1901년 마포삼열이 아내에게 쓴 서신의 내용을 통해 당시 한국어 평가 방식 및 점수에 대한 일부 정보 등을 기록하였다. 1904년과 1905년 선교본부에 보내는 보고서 내용을 통해서는 해당 년도 1, 2, 3년 차 선교사들의 구체적인 점수와 평가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기록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선교사들의 한국어 시험 평가 및 관리의 주최인 <한국어 시험 위원회>의 다양한 역할과 활동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다양한 자료들이 종교적 기록물로서의 개념을 넘어 근대 한국어교육의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될 수 있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for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recorded in the 『Samuel Austin Moffett Coll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al history. The 『Samuel Austin Moffett Collection』 was published with recently disclosed letters, <Korean Language Examination Committee> reports, and other materials of S. A. Moffett contains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relatively detaile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scores and evaluations.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scores and contents of individual missionaries, which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were displayed, so it was worth being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discussing the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or as a historical record of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examined the detai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nd and recorded some information on the Korean language evaluation methods and scores of the 『Samuel Austin Moffett Collection』 through the entire course of the test conducted in 1891, when S. A. Moffett was in his second year, and the contents of the letter written to his wife in 1901. Through the contents of the report sent to the Mission Headquarters in 1904 and 1905, the specific scores and evaluations of missionaries in the 1st, 2nd, 3rd year were identified and recorded. In this process, the missionary organizers of the Korean test evaluation and management various roles and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Examination Committee> were confirm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allow various materials to be evaluated as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shed light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beyond the concept of religious records.

Ⅰ. 서 론

Ⅱ. 마포삼열과 그의 서신 자료집

Ⅲ. 초기 개신교 선교사 대상 ‘한국어 능력 평가’ 내용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