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112.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의 얼굴표정 정서인식 정확성과 언어 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cial Expression Emotional Accuracy and Language Ability on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 276

본 연구는 유아의 얼굴표정 정서인식 정확성과 언어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D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얼굴표정 정서인식 정확성은 사회적 유능성의 우울-고립, 공격성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언어능력의 경우 수용언어는 우울-고립과 부적 상관, 표현언어는 친사회성과는 정적, 우울-고립 및 공격성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얼굴표정 정서인식 정확성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함양과 문제행동 예방을 위해 얼굴표정 정서인식과 언어능력이 가정과 교육기관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emotional recognition accuracy and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on their social skill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27 children aged 5 years old who are funded by the D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result, first, the accuracy of facial expression emotional recognition of childre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isolation and aggression of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in terms of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 acceptance languag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isolation, and the expression language was negatively related to pro-social performance and negatively with depression-isolation and aggressiveness. Second, the accuracy of facial expression emotional recognition of childre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and language skill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hom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improve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and prevent behavioral problem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