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307.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생의 감정관리 능력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oral education to foster the emotional manage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170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감정관리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그 목적이 있다. 감정의 이해와 관리는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로서, 학생의 개인적·사회적 존재로서의 성장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 그러한 점에서 감정관리는 도덕과의 중요한 교육적 과제라 할 수 있으며 실제 2007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감정관리 지도요소를 신설한 이래 도덕과에서 감정관리 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제도적 차원의 문제 인식에도 불구하고 실제 생활 장면에서의 실천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그 보완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2015 개정 교과서가 순차적으로 적용 중인 시기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고찰하되, 교과서의 단원 분석은 감정관리 지도요소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5학년 교과서(2012 개정)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이 때 감정관리를 인지·정서·행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습관 차원으로 정착하 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고, 단원 분석을 통해 보완적인 교수·학습 방안과 교수·학습 과정의 예시 안을 구체적인 지침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보완적인 교수·학습 방안으 로서, 몸을 활용한 감정관리 습관 정착과 도덕교과와 생활세계의 통합을 제시하였다. 몸은 체화의 과정을 통해 우리의 감정을 경험하고 습관화 한다는 점에서 교육의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바이다. 더불어 일상 속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수반되는 감정을 이해하고 그 경험을 도덕과의 감정관리 수업의 적극적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교과-일상의 순환적 피드백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sugg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ed to foster the emotional manage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managing emotion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reveals one s inner-self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It is deeply related to the student s growth as a personal and social being. In this regard, emotional management can be an important educational task with morality. In fact, since the 2007 revision of the Moral Curriculum, the Department has been required to provide emotional management education.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institutional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problem of practice in real life scenes continues to be raise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fifth grade textbook (2012 revision), which directly deals with the parts of emotional management, while the 2015 revised textbook was reviewed on the curriculum of the period in which it was applied sequentially in order to present its complementary method through textbook analysis. At this time, the focus was on ensuring that emotional management was established at a habit level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of awareness, sentiment and behavior, and the supplement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xam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were presented at a specific level of guidance. As a complementa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e 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emotional management habits using the body and the integration of moral subjects and the living worl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in the course of education that the body experiences and habitats our emotions through the process of physicalization. In addition, by understanding the emotions involved in everyday student interactions and using the experience as an active subject in the moral education emotional management classes, curriculum-daily feedback may be possible.

Ⅰ. 서론

Ⅱ. 도덕과에서의 감정관리 교수·학습

Ⅲ. 감정관리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