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03.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교사 간 협력적 관계형성을 위한 새로운 시도

: 예비유아교육에서의 부모와의 실제경험

  • 485

본 연구는 가정방문으로 유아들을 가르치며 부모들과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6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예비교사교육에서 부모와의 사전경험이 교사가 된 후 부모와의 실제 협력에 어떤 가능성과 한계를 제공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기간, 그리고 졸업 후 교사를 하는 기간 중에 총 5차례의 개별면담과 1차례의 포커스그룹 면담, 그리고 참여자의 반성적 저널과 관련 문서수집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부모와의 사전경험은 예비유아교사들이: 1)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부모와의 관계에서 회피보다는 시도를 할 수 있게 도와주었고; 2)부모의 행동과 요구에 대한 비판보다는 다름을 인정하고 공감하려는 성향을 길러주었으며; 3)부모-교사관계의 어려움을 깨닫고 시행착오를 통해 현장에서 필요한 실천방법들을 찾아갈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주었다. 반면, 예비교사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부모와의 협력에 대한 제한된 관점을 전환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실습경험이 단절되어 이루어지거나, 실습과정에서 사전교육이 병행되지 않거나, 대학의 교육과정과 연계되지 않는 운영 등으로 인해 부모와 관련하여 단편적인 경험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부모-교사 협력이 실천되기 위해 예비교사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변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that participated in a practical program with families. A case study of six student teachers was discussed to illustrate the potential of such an approach to this aspect of teacher prepa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eld experience: 1)helped the student teachers overcome their fear of child’s parents and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as teachers; 2)allowed them to develop their attitudes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rather than criticize children’s parents’ behaviors; and 3)helped them realize the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establish effective partnerships with parents in their future professional role. On the other hand, the practical experience had its own limitation in changing the pre-established, limited perspectives of student teachers regarding parent-teacher collaborations. Moreover, the student teachers could only have limited and fragmentary experiences with families in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and improvements for the re-establishment of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 preparing teachers to work collaboratively with families in children’s education was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