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277.jpg
KCI등재 학술저널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성과 놀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Recognition of Children’s Creativity and Playing through Big Data

  • 729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아 창의성과 놀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핌 으로써, 놀이를 통한 창의성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빅데 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 사이트를 통해 ‘창의성+유아’, ‘놀이+유아’, ‘창의성+유아 +놀이’를 검색어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국내 유입율 1위 Naver 포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부터 2018년 동안의 블로그, 뉴스, 카페, 지식in의 데이터 약 15MB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정제한 뒤 단어 빈도를 기준으로 상위 키워드 50개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창의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교육’, ‘프로그램’과 많은 관련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놀이는 ‘자격증’, ‘2급’, ‘취득’등의 키워드와 높은 상관을 보여 ‘창의성’의 분석결과와 차이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유아 창의 놀이는 ‘발달’, ‘교육’, ‘프로그램’과 ‘숲’, ‘자연’, ‘사고력’, ‘상상력’, ‘집중력’등의 단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유아 창의 놀이와 관련된 교육 및 프로그램의 적용 방법 및 교육 매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운영되는 유아 창의-놀이 관련 프로그램 분석과 더불어 부모 또는 일반인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질적으로 우수한 ‘유아 창의-놀이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play by examining the social awareness of ‘play’ and ‘creativity’ through big data analysis. For this, We collected and analyzed about 15MB of data using Creativity + young children , Play + young children , and Creativity + young children + Play as search words. The collected data was filtered first and second, and the top 50 words were selected for network analysis. Based on this results, key words such as education and program have a lot of relation in the data on young children creativity. The ‘play’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key words such as certification , grade 2 , and acquisition . therefor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analysis of young children play and creativity. Finally, the analysis of creativity + play + young children shows that social interest is high on educational words such as development , education , program , forest , nature , thinking power , imagination .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check the current young children creativity- play programs and develop a quality young children creativityplay programs that can be used by parents or the general public.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