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469.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문대학 내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유형화와 효과성 분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고용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ypes and Effectivenes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in Colleges Based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Seeking Stress, and Employability

  • 566

본 연구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의 다양성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전문대학 내 취업지 원프로그램의 참여유형을 구분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고용가능 성을 중심으로 취업지원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2016 년 11월부터 12월까지 수도권 소재 A전문대학의 재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전문대학생이 1개 이상의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하고,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2~4개 프로그램을 경험하였다. 둘째, 변량분석 결과,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고용가능성의 차이는 각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군집분석 결과,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 다양성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4개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각 유형별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 능감, 취업스트레스, 고용가능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급자 중심의 보여주기식 성과에서 탈피해서 학습자 중심의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 운영방식이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에 따라본 연구는 전문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운영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type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in college.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from 329 students of metropolitan junior college. Based on data, researchers classify the participation type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the diversity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seeking stress, employability among participation types. As a results, first, most of college’s students experience more than once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this means that these programs come to be common experience to students. Researcher also identify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seeking stress, employability depending on participating programs. Through cluster analysis, 4 type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 participation are found.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seeking stress, employability. Particularly,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 shows a clear difference when the participation of diversity and satisfaction are considered together, not each. Based on these results, researchers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employment support program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