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8401.jpg
KCI등재 학술저널

3D 프린터의 특수교육적 활용을 위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s Recognitions and Needs for Special Educational Use of 3D Printer

  • 343

본 연구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3D 프린터의 특수교육적 활용을 위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조사하여,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특수교사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 전국장애학생 e 페스티벌(주최 국립특수교육원) 참석 교사 5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들은 3D 프린터에 관하여 대부분 인식하고 있으며, 3D 프린터의 특수교육 활용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3D 프린터는 특수교육을 위한 교수매체 개발과 직업교육에 활용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3D 프린터의 특수교육적 활용을 위한 요구는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보급과 사례연구, 교사연수 및 세미나 등을 가장 요구하고 있고, 장애학생들의 직업교육과 교과수업용 교재교구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연구회 지원과 환경적 기반 구성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향후 3D 프린터의 특수교육적 활용을 위하여 특수교사를 위한 연수 및 세미나 확대와 교사 연구회 활성화가 필요하고, 학교현장에 관련 기기의 보급 및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장애학생의 개별적 요구에 맞는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적용을 위한 모델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special education use of 3D printers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As a results of the resear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ostly aware of 3D printers and positive about the use of special education in 3D printers. And 3D printer recognizes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edia for speci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In addition, the demand for the special educational use of 3D printers require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ase studies, teacher training and seminars. And to develop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structional Media for Teacjing. To this end, it requires the support of Teachers Study Group and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3D printer in special education in future, it is required to expand Teacher s training and seminar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revitalizeTeachers Study Group.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meet the individu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