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6763.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전략, 시험불안 및 학업성취의 차이

Motivation Profiles from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s: The Roles in Self-Regulated Learning,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 1,22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 유형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자기조절학습과 시험불안의 차이와 프로파일이 이후 학업성취와 어떤 연관을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차년도 자료의 중학교 2학년 6,490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결과, 5개의 프로파일 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으며, 이들 집단은 각각 무동기집단, 낮은 동기집단, 중간 동기집단, 강한동기집단, 높은 자율성 동기집단으로 명명되었다. 프로파일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전 략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적응적인 전략의 경우 강한 동기집단과 높은 자율성 집단이 나머지 집단과 비교했을 때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한편, 자기손상화 전략과 시험불안에 있어서는 강한 동기집단이 높은 자율성 동기집단에 비해 자기 손상화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시험불안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에 따라 3학년 학업성취 또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는데, 높은 자율성 집단, 강한 동기집단, 중간 동기 집단, 낮은 동기집단, 무동기집단 순으로 학업성취가 낮아졌으며, 프로파일은 1학년 학업성취를 통제한 후에도 3학년 성 취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조절학습, 시험불안 및 학업 성취에 있어 자율성 동기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교육현장에서 자율성 동기를 길러줄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from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and how their motivational profiles relate to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test anxiety, and future academic achievement.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6 data (N=6,490) were used for the analysi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 five-profile model of amotivation, low motivation, moderate motivation, strong motivation (i.e., high autonomous and high controlled), and high autonomous motivation was chosen as a final model.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est anxiety, and future academic achievement. For all the adaptive strategies, both the high autonomous motivation and the strong motivation groups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strategy use, followed by the moderate motivation, the low motivation, and the amotivation groups. For the maladaptive indicators such as self-handicapping strategies and test anxiety, the strong motiva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than the high autonomous motivation group.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for the strong motivation group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igh autonomous motivation group.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at their 8th grade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9th grade academic achieveme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ir previous achievement level. When the moderate motivation group was used as a comparison group, being in the high autonomous motivation or the strong motivation groups was associated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t roles of autonomous motivation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