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726.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기혼여성의 관계 형성의 어려움과 대처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about th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and coping skill of married women with experience in parental divorce

  • 520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기혼여성이 이후 관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받고,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혼가정에서 자란 기혼여성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합의적질적연구(CQR) 방법을 사용하여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모의 이혼 경험이 여성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또래, 연애, 결혼 관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기혼여성의 대처방법을 인지, 정서, 행동적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영역별로 핵심개념을 분석한 결과, 이혼가정에서 자란 기혼여성들은 ‘사람을 신뢰하기 어렵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관계를 친밀하게 발전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심리적으로 위축’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기혼여성들은 관계유지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표현하려는’ 정서적 대처, ‘좋은 가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인지적 대처, 그리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행동적 대처를 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혼가정에서 자란 여성의 관계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deeper into how a married woman who experienced a parent s divorce is affected by relationship and how to cope with difficulties.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of 15 married women who grew up in a divorce family were conducted, and the interview was analyzed using an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The collected data the impact of parents` divorce experiences on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into peer relationship, love relationship, and marriage relation. And then, the coping skills about difficulties were analyzed into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imension. As a result, married women who have divorced parents were thinking ‘It is hard to trust a person’. Because of this, they had ‘the fear of making close relationship’ and reported that they tended to be ‘feel shrinkage’. Howev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maintaining relations, they were using emotional coping ‘to frankly recognize and express my feelings’, cognitive coping ‘maintaining a good family’, and behavioral coping skills ‘to actively utilize the social support system’. At the end of this study, implication and proposal on following research about counseling for women who have relational difficulties caused by family background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