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이 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room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n Elementary School

  • 471

본 연구는 학생의 성, 학년, 학업성취수준의 배경변인별로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고,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 인과관계를 조사하고자 연구하였다. 대전시에 ‘G’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교생활만족에 대한 인식은 4학년 학생들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은 학생의 학교생활만족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 구성요인 자기인식, 사회인식, 자기관리는 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담임교사가 감성리더십을 발휘할 때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을 통해 학업성취향상, 학교폭력 감소, 학생의 진로인식 증가 등 학교교육의 효과성 증진에 기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room teachers’s emotional readership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y students’ gender, grade, and scholastic achievement level variables.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292 third to sixth graders of ‘G’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Several results were abstracted. First, fourth graders and students with high scholastic achievement level showed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hree factors of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self awareness, social awareness, and self management affect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can improve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hich in turn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reduce school violence, and enhance career awarenes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