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성별·전형유형별 전공만족도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selection method based on latent growth model

  • 460

본 연구는 성별, 전형유형별 전공만족도 차이를 종단적으로 연구하여 대학 전형유형과 성별이 전공만족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종단자료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35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학생은 전형유형별로 2014부터 4학기를 연속적으로 이수한 학생이었으며, 매학기 이들의 전공만족도를 조사하여 최초값(intercept)과 기울기 값(slope)를 구하였다. 그리고 이수학기가 늘어나면서 전형유형, 성별에 따라 전공만족도의 초기값, 기울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신입생의 전공만족도의 변화를 무조건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신입생의 전공만족도는 학기가 진행됨 따라 계속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조건모형을 통해 신입생의 전공만족도의 최초 값과 기울기 값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살펴본 결과, 전형유형은 전공만족도의 초기값에 영향을 미쳤으나 전공만족도의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성별은 전공만족도의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은 대학에 수학 학년이 길어지더라도 대학 전공만족도가 남학생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형유형 및 성별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종단적 연구를 통해 전형의 타당성에 대한 점검과 대입정책에 방향이 될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selection method based on latent growth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7 college students in Busan who were admitted in 2014 and took 4 consecutive semester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average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changes as the number of completed semesters increases based on the estimates of intercept and slope. More precisely, it was analyzed if intercept and slope of average major satisfaction were different between gender and selec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cept and slope was different between gender and the intercept was different between selection method. but the slope was not different between selection method.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raising the validity of college admission.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