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92.234
13.59.92.234
close menu
KCI 등재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이옥희 ( Okhui Lee ) , 송나리 ( Nari Song )
인문사회 21 12권 2호 1681-1696(16pages)
UCI I410-ECN-0102-2022-000-000545820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이 꾸준히 늘어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시작된 2001년부터 2020년까지 KCI에 등재된 논문 총 78편의 연도별 동향, 연구 방법, 연구 내용,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게재동향은 2013년에 급속히 증가한 이후 다시 차츰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구유형으로는 양적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연구 대상의 수는 30명 이상 60명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총 회기 수는 11∼20회기, 주당 운영 횟수는 주 2회,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1∼3개월 미만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내용으로는 언어활동을 가장 많이 진행했으며 적용 효과로는 사회ㆍ정서 발달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필요성과 영아를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대상 논문의 확대를 제언한다.

Multicultural education is essential to the South Korean society in which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continues to rise.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nd propose tasks for their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study, total 78 papers registered at KCI between 2001, when research began o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began in the nation, and 2020 were analyzed in publication trends, research methods, content, and application effects. The findings show that the publ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made rapid growth in 2013, after which the publication tended to decrease gradually. As for research types,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usually conducted with data collected through experimentation.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 researches targeted five-year-olds as subjects and included cases of 30-60. It the most case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consisted of total 11-20 sessions, gave two sessions per week, and ran a program for 1-3 months. Finally, language activities were the most popular content i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nd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held huge importance in their application effec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proposed that follow-up study will need to cover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infants, and expand the scope of papers to be analyz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