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78.157
3.17.78.157
close menu
KCI 등재
초국적 정의-빈곤 패러다임 연구: 한국여성노인빈곤 사례를 중심으로
Transnational Justice Poverty Paradigm: Poverty of Korean Elderly Women
백미연 ( Miyoun Baik )
인문사회 21 10권 5호 477-492(16pages)
DOI 10.22143/HSS21.10.5.34
UCI I410-ECN-0102-2021-000-000154656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빈곤 특히 여성노인빈곤은 국내외 요인과 행위자들이 서로 뒤얽히며 상호작용하여 초래된 사회구조적 결과라고 이해한다. 빈곤을 정의의 문제로 간주하며, 정의의 책임의 범위에 대한 정치철학적 검토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빈곤 책임의 정당한 주체를 지시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실용성이 높은 접근법으로 초국적 정의(transnational justice)접근법을 제안한다. 지구적 경제환경, 남성중심주의 법과 문화, 젠더 불평등한 노동시장구조, 젠더 불평등한 복지체계라는 사회구조적환경에서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 뒤얽힌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빈곤은 사회구조적 부정의이자 초국적부정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행능력과 영향력 요인을 고려해볼 때, 국가뿐만 아니라 자본 역시 빈곤 해결에 있어 정당한 책임의 주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향후 한국사회에서 빈곤에 관한 사회적 책임논쟁에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understand that poverty, especially poverty of elderly women, is the result of complex social structural interactions. Poverty was regarded as a matter of justice, and political and philosophical review of the scope of responsibility for justice was conducted. This suggests a transnational justice approach as a feasible and highly practical approach to direct the legitimate subject of poverty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transnational justice approach, the responsibility of poverty, in particular the poverty of elderly women, lies in capital as well as the state. Poverty is a social structural and transnational injustice as a result of the intertwined interactions of various actors in a global economic environment, androcentric law and culture, and gender unequal labor market structures. This paper helps to enrich social responsibility about poverty in Korean society.

I. 한국사회 빈곤, 누가 책임져야 하는가
Ⅱ. 빈곤과 정의
Ⅲ. 빈곤의 책임의 범위와 초국적 정의
Ⅳ. 나오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