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9.181
3.145.9.181
close menu
KCI 등재
교사의 사회정서학습 시행의도와 영향요인: 계획된 행동이론에 기초한 증강 모형의 탐색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ugmen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신현숙 ( Hyeonsook Shin )
인문사회 21 9권 5호 223-238(16pages)
DOI 10.22143/HSS21.9.5.17
UCI I410-ECN-0102-2019-300-001184569

계획된 행동이론은 태도, 주관적 사회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지만, 교사의 사회정서학습 시행의도를 더 잘 예측하려면 영향요인의 추가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의무감과 예상된 후회의 추가적 효과를 검증하여 계획된 행동이론의 증강 모형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끌어내기 면담과 예비연구를 통해 제작한 질문지를 중학교 교사 270명에게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도덕적 의무감과 예상된 후회가 추가된 후에는 주관적 사회규범의 효과가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고, 도덕적 의무감과 예상된 후회의 추가적 효과는 유의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기본 모형에 비해 증강 모형의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더 양호하였다. 이는 사회정서학습 시행에 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 도덕적 의무감, 예상된 후회를 다루는 교사자문이 교사의 사회정서학습 시행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ssumes that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ubjective social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however, a better prediction of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requires addition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ugment TPB with moral obligation and anticipated regret as additional predictors. Elicitation interviews and pilot studies were conducted to develop questionnaire items, which were administered to 270 middle school teacher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subjective social norms was no longer significant after the addition of moral obligation and anticipated regret but their additive effects were significa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augmented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basic model.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