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21.26
3.129.21.26
close menu
KCI 후보
라프케디오 헌의 「동양에서의 나의 첫째 날」의 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 in Lafcadio Hearn`s 『My First Day in the Orient』
이협 ( Hyub Lee )
인문사회 21 7권 1호 597-612(16pages)
UCI I410-ECN-0102-2016-300-000764912

본 연구는 라프케디오 헌의 「동양에서의 나의 첫째 날」에 기저하고 있는 오리엔탈리즘을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헌은 세기의 전환점에서 일본을 서구에 소개한 가장 대표적인 작가이다. 1890년부터 1904년 사망할 때까지 일본에 머무르면서 일본에 관한 많은 단편 소설들과 에세이 등을 남겼다. 서구와 대조되는 일본에 매료되어 커다란 관심을 가지게 된 헌은 호의적인 태도와 시각을 보여주었다. 이 에세이는 일본의 이국적 타자성에 대한 헌의 관점을 축약적으로 드러내준다. 작은 것에 대해서도 매료되는 성향이 있던 헌은 요코하마 시내의 풍경을 마치 난쟁이 마을이나 요정 내지 그리스 신화의 반인반수가 있는 것 같은 환상의 세계를 구경하고 있는 듯이 묘사한다. 일본을 이전에 봤었던 곳처럼 느낀다고 헌이 토로하고 있는데, 이는 헌이 어린 시절의 아일랜드에 대한 기억에 사로잡혀서 회귀하고 싶은 욕구가 내면에 기저하고 있기 때문이다. 헌은 일본을 대상화하는 응시의 시선을 가지고 전유하면서 자신의 억압된 욕구를 동양에 투사시키며 회복시키는 성향이 있다. 일본 여인에 대한 묘사에서 드러나듯이 일본을 성적으로 대상화시키고 이국적 대상에 대한 소유욕을 느낀다. 이러한 성향은 오리엔탈리즘의 전형적인 양상들이다. 헌의 글은 당시대의 서구인들이 저술했던 기존의 텍스트에 근거하며 또한 서구인들의 환상을 쫒는 욕구에도 영합한다. 결론적으로 헌이 일본을 서구에 알리는 데에 공헌한 바 있지만, 그의 일본에 관한 시각은 오리엔탈리즘 때문에 문제적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analyze Orientalism embedded in Lafcadio Hearn`s "My First Day in the Orient," an essay vividly depicting his first day experiences in Yokohama. Hearn is a representative writer to introduce Japan to the West. Living in Japan from 1890 to 1904 when he died, he wrote many short stories and essays regarding Japan. He was deeply interested in Japan and thus had an overtly favorable attitude towards it. "My First Day in the Orient" presents a microcosm of his viewpoint upon Japan as a society where unconventional and exotic Otherness can be found. Hearn depicts the scenery of streets in Yokohama as if it were an enchanting world of fantasy like a dwarf village or elfish world. Fascinated with the smallness of Japanese and their commodities, Hearn feels desire to fetishize and own the curious things. Hearn confesses that he felt as if he had experienced Japan before. Hearn aspires to restore his childhood memory in Ireland, where he heard mythic stories and folklores. Because of his Celtic background, Hearn could better grasp the essence of Japanese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typical Western male gaze, Hearn tends to appropriate and sexualize Japan, and project his own repressed desire upon the Orient. This tendency is a main trait of Orientalism, which is applicable to the Western writings on the other non-Western regions as well as East Asia. Hearn`s writing is based on the contemporary Westerners` writings that mystified Japan. It appeals to the Western desire of pursuing the Otherness in the Orient. In conclusion, despite his contribution to introducing Japan to the West, Hearn`s perspective upon Japan is problematic for its Orientalism.

I. 서론
II. 환상적인 공간으로 묘사되는 요코하마 거리
III.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