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4.85
3.144.114.85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자의 자기자비 군집에 따른 심리적 소진,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의 차이
Difference of Burnou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by the Cluster of Self-compassion in Counselor
김윤희 ( Yoonhee Kim ) , 진미경 ( Mikyoung Jin )
인문사회 21 14권 1호 71-86(16pages)
DOI 10.22143/HSS21.14.1.6
UCI I410-ECN-0102-2023-300-00112115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자기자비의 군집을 분류하고 관련된 심리적 변인인 심리적 소진,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서 상담자가 가진 자기자비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 별 특성을 고려한 자기자비 증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207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를 대상으로 자기자비의 하위요인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결과 비자기자비 집단, 평균 이하 집단, 평균 집단, 자기자비 집단의 4개의 군집이 분류되었다. 둘째, 각 군집은 심리적 소진,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 발견한 상담자의 자기자비 군집유형과 특성을 바탕으로 상담자의 자기자비 수준을 높이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classify self-compassion clusters in counselor and verifies the difference of burnou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which are psychological internal variables of counselors to find ways of promote self-compassion lev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207 counselors, and analyzed by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counsel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Uncompassionate group, Below average group, Average group, Compassionate group. Second, Each clus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urnout,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Based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lf compassion cluster of counselor found in this study, it is believed to help develop training programs to increase counselor’s self compassion level.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