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학생들의 과학 교사에 대한 수업 상황별 선호, 기피 이미지 분석

Analysis of Images of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 and Avoidance of Science Teachers by Class Situ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과학교육연구지
약어 : Jour. Sci. Edu.
2021 vol.45, no.1, pp.55 - 68
DOI : 10.21796/jse.2021.45.1.55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인용한 논문 수 :   -  
14 회 열람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요구되는 교사상도 변하고 있다. 중학생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미성숙한 시기로 교사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 학생들이 교사를 어떻게 인지하는가는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를 좌우한다. 이에 학생이 교사에게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인지하는 수업 상황별 선호, 기피하는 과학 교사 이미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수업 상황을 수업 형태, 수업 자료 제시 방법, 교과 지도 방법, 교과 내용 설명 방식, 수업 분위기 조성의 5가지로 나누어 선호, 기피하는 과학 교사의 이미지를 개방형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중학생들에 의해 제시된 개념들은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이 과학에 흥미를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탐구 중심의 실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과학 교사에 의한 수업의 변화가 선호하는 과학 수업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셋째, 학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수준에 맞는 학생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과학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의 소통을 통해 과학 교사는 지속적으로 노력하며, 이를 통한 과학 수업의 변화가 있길 기대한다.

The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accordingly, the required teacher image is changing as well. Middle school students are immature, when they undergo major changes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and teachers have a great influence. How students perceive the teacher deter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at kind of teacher image middle school students w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a science teacher who prefers and avoids each class situ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50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ive classes: class type, class material presentation method, subject instruction method, subject content explanation method, and class atmosphere, and the image of science teacher who prefers and avoids is described in an open format. Concepts presen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make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ed in science, an inquiry-centered experiment class should be conducted. Second, the change of class by science teacher can change it into preferred science class. Third, student-centered classes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level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Finally, science teachers continue to striv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and students and students, and look forward to changes in science classes through this.

과학 교사, 이미지, 중학생, 수업 상황, 언어 네트워크 분석
science teacher, images, middle school students, class situation, semantic network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