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5752.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 후기 金坵의 文翰外交와 通文館 설치

A Brief Review of Political Diplomacy Cognition of Kim, Gu, A Civil Official at the end of Koryeo and Tongmungwan Installation

  • 218

止浦 金坵는 고려 후기 학자이자 문장가로서 당대 李奎報, 崔滋 등의 문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였고, 특히 騈儷文에 능하여 원나라에 전해졌던 表文이 거의 그의 손에서 나올 정도로 ‘文翰外交’의 업적을 남긴 정치가이기도 하다. 문한외교로 원나라와의 외교에 있어서 큰 공헌을 하였던 지포 김구는 충렬왕 2년 ‘通文館’ 설치를 정식으로 건의한다. 통문관은 국가 역어 교육기관으로 당시 사적으로 몽고말을 배워서 국가 간 외교에서 이를 개인의 출세를 위해 사용하는 ‘舌人’들의 폐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자, 다변하는 국제정세의 흐름 속에서 약소국으로서의 처세를 어떻게 해나가야 할지를 다각도에서 고민했던 김구의 인식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일찍이 강대국들 사이에서 나라를 지켜낼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외교’의 중요성을 깊이 깨달았던 김구는 40세 미만의 젊은 인재들을 교육시켜 외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함을 역설하였다. 김구가 살았던 고려 후기의 상황과 오늘날 미국과 중국, 유럽 열강들 틈에 끼어 생존과 위상정립을 도모해야 하는 우리나라의 상황이 다르지 않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지금이야말로 고려 후기, 다변하는 국제정세의 흐름을 간파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해 ‘통문관’이라는 외국어 교육기관을 제안했던 김구의 혁신적 사상을 다시 조망해야 할 때이며, 이를 어떻게 현대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봐야 할 중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약 740년 전(1275) 문관 설치에 대한 필요성을 깊이 체감하고 이를 적극 건의하였던 지포 김구의 정치・외교인식을 살펴보고, 그러한 인식의 결과물로서 통문관이 세워지게 된 과정과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Jipo Kim, Gu, a scholar cum fine writer at the end of Koryeo, kept abreast with writers at that time such as Lee, Gyu-Bo, Choi, Ja and as he was versed particularly in Byeonryeomun, he left so much achievements of ‘literary diplomacy’ as almost all the Pyomun that was delivered to Kingdom Won was written by himself. At the end of Koryeo, Kim, Gu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diplomacy with Kingdom Won by ‘literary diplomacy’ proposed an formal installation of Tongmungwan in 2nd year of King Choongryol so that it may undertake a part of nurturing interpretation education and interpreting officials until Choseon era thereafter. ‘Tongmungwan’ was a national history education institution and it was not only a method of being able to solve harmful effect of ‘private interpreters’ who privately learned Mongolian language and used it in inter-state diplomacy for personal successful career and but also a cognitive outcome of Kim, Gu who concerned about how to get along in the world as a weak nation under the current of diversified international situation in various ways. Kim, Gu who earlier realized importance of ‘diplomacy’ deeply as means of being able to defend a nation among strong powers emphasized that an ability of being able to have a good command of foreign language should be cultivated by educating young gifted persons aged below 40 years old. When recalling that the situation at the end of Koryeo when Kim, Gu lived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our country that has to pursue survival and establishment of status while being trapped between super powers are not different, now is an important time to take a view of innovative thought of Kim, Gu again who proposed education institution of foreign language called ‘Tongmungwan’ in order to see through and get ready for the current of diversified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end of Koryeo and carefully think over how to apply such thought to contemporary society. Under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installation process and role of ‘Tongmungwan’ as a cognitive outcome of Kim, Gu were considered by observing political, diplomatic recognition of Kim, Gu who extensively proposed ‘Tongmungwan’ installation by deeply experiencing its necessity app. 740 years ago (1275).

1. 서 론

2. 고려 후기 국제정세와 坵의 文翰外交

3. 舌人의 폐해

4. 通文館의 제안과 설치

5.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