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울산고래축제를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생태축제로서의 울산고래축제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 중 오랫동안 논쟁이 되고 있는 동물자원 이용과정과 동물 활용 방식에 따른 관광객의 태도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장 관찰과 심층면접, 문헌연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울산고래축제는 생태축제를 표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래고기 식문화에 대한 옹호와 반대를 둘러싼 ‘갈등과 대립’이 끊이질 않고 있으며 이러한 갈등과 대립은 축제와 연관되는 ‘이해 집단의 복잡한 역학관계’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래자원을 경제적 이익과 연계한 ‘활용’의 대상으로 보는 집단과 ‘보호’해야 하는 대상으로 보는 집단 간의 대립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고래관광의 특수성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뿐만 아니라 울산고래축제는 고래생태관광이 아닌 일반고래관광의 관점을 바탕으로 생태축제에 접근함으로써 "축제의 정체성 혼란"을 야기하고 생태관광을 대량관광의 형태로 실현하고자 하는 문제점들을 출현시킨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울산고래축제는 무엇보다도 축제와 연관되는 이해집단간의 ‘조정과 협상을 통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고래축제에 대한 공통된 인식 및 비전을 설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major controversial issue on Ulsan whale festival as an eco festival regarding how animals are perceived and the tourists’ attitude toward the way animals are presented at the festival which has long been argued. In order to do this, grounded theory has been used. A number of different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applied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depth interview, secondary data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Despite the festival is presented as an eco festival, there have been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the supporters and opposed groups to the whale-eating tradition which has been caused by the dynamics between stakeholders of the festival. The paper also reveal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whale tourism which has the structure of conflict with contrast perspectives of using whales to create economical value or preserve whales as a nature resource. Moreover, few problems has occurred with Ulsan whale festival such as ‘identity confusion of the festival’ and practicing ecotourism with a form of mass tourism by applying whale tourism perspective rather than whale ecotourism. Therefore, Ulsan whale festival should develop a bond of sympathy by focusing on ‘negotiation and mediation’ and build a common perception and prospect.

목차

Abstract
국문요지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23-001148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