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MF 외환위기 이후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개인의 생존이 중요한 가치가 되었다. 정보화는 공통의 도덕이 형성될 상호작용을 감소시켰고, 세계화는 도덕이 상대적이라는 것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지난 20년간 이뤄진 변화는 한국 사회의 도덕성을 점점 감소시켰다.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도덕 문화 변화를 코호트 내 변화와 코호트 교체 효과로 분해함으로써 탈도덕화 현상이 장기적으로 지속될지 밝히고자 한다. 같은 변화도 사회적 위치에 따라 다르게 경험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탈도덕화 현상에 미치는 영향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가치관조사의 1996년 데이터와 2018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 20년간 이뤄진 변화를 추적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도덕 기반 중 개인성 중시 도덕인 공평성과 결속 중시 도덕인 순수성을 발견하였다. 코호트 내 변화와 코호트 교체 효과 모두 민감도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통해 한국 사회의 탈도덕화가 장기적으로 진행될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공평성보다 순수성의 민감도가 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것을 통해 성에 대해 더 개방적인 방향으로 사회가 변화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As neo-liberalization in Korean society has progressed rapidly after the IMF bailout, the notion of survival has become the most significant value. In addition, informatization has reduced the social interactions through which common morality is shaped and globalization has allowed it to experience diverse morals existing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collective values and morality have gradually getting weakened. This paper attempts to confirm whether the phenomenon of amoralization has gotten intensified over a couple of decades by decomposing moral changes in Korea into cohort succession effect and intra-cohort change effect. Also, considering that different social settings may have experienced the same changes differently, we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amoralization. To these ends, we tracked down the attitudinal changes using the 1996 and 2018 data from the World Value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apture ‘Fairness’ from the person-focused Individualizing cluster and ‘Purity’ among the group-focused Binding cluster. Both cohort succession effect and intra-cohort change effect influence the reduction of sensitivity, suggesting that the amoralization of Korean society will proceed over a long period. In particular, it can be expected that society will change toward more openness to sex, as the sensitivity of Purity has decreased more than the sensitivity of Fair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7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