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ody Image on Self-Esteem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한국무용과학회지
약어 : KSDS
2014 vol.31, no.1, pp.67 - 84
DOI : 10.21539/ksds.2014.31.1.67
발행기관 : 한국무용과학회
연구분야 : 무용
Copyright © 한국무용과학회
178 회 열람

이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대전, 경기, 충남, 충북에 위치한 예술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4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일원분산분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 중 성, 무용경력, 공연 횟수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무용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신체이미지에 따른 자아존중감에서 신체매력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체중관심과 외모무관심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신체이미지에 따른 무용수행능력에서 외모관심은 무용수행성취와 무용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매력은 무용수행성취, 무용수행집중, 무용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무관심은 무용수행집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무용수행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아존중감에 따른 무용수행능력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무용수행성취, 무용수행집중, 무용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무용수행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무용수행능력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보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는 무용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 무용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ody image on self-esteem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443 students majoring in dance were selected from art high schools in Seoul, Daejeon, Kyung-gi,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der, dance career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Second, the body image of art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d on self-esteem significantly. Physical attractiveness influenced on positive self-esteem and it also negatively influenced on negative self-esteem. Concern of weight and unconcern of appearance influenced on negative self-esteem and they also negatively influenced on positive self-esteem. Third, body image influenced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significantly. Concern of appearance influenced on achievement and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Physical attractiveness influenced on achievement,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Unconcern of appearance influenced on concentration of dance performance and it also negatively influenced on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Forth, self-esteem influenced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significantly. Positive self-esteem influenced on achievement,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Negative self-esteem influenced on achievement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Fifth,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self-esteem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To sum up the above results, body image of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fluenced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directly. Also, body image had positively indirect influence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through self-esteem.

무용전공 고등학생,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무용수행능력
high school student majoring in dance, body image, self-esteem, dance performance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