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6.18.211
3.136.18.211
close menu
KCI 등재
동물매개중재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nimal Assisted Intervention on Self-Esteem and Anxiety of Adolescents
임은경 ( Im Eun-kyung )
청소년학연구 28권 10호 161-183(23pages)
DOI 10.21509/KJYS.2021.10.28.10.161
UCI I410-ECN-0102-2023-300-000520108

본 연구는 동물매개중재가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 검증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학교에서 진행된 정서행동특성검사에서 우울, 불안 등 부정적 정서 및 품행장애를 보이는 동질성이 확인된 학생들 12명을 무선할당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 진행은 두 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은 동물매개중재를 주 2회 매 회기 5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고, 사후검사를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위해 Independent sample t-test를 실시하였고, 두 집단의 집단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집단만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One-way ANOVA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물매개중재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정서행동특성 문제해결을 위한 능동적인 중재 개입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에게도 동물매개중재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and sustainability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AAI) on the self-esteem and anxiety among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as negative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nd forme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tests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total of 12 interventions twice a week and 50 minutes a week, followed by a post-test.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Independent sample-test for homogeneity test of the two group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roup chang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ubsequently,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one-way ANOVA analysis on data analysis for the pre-post-post-examination by conducting a subsequent test. The results,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animal assisted interven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spect and anxiety, and the effects continu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