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9.122
3.15.19.122
close menu
KCI 등재
여자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자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Emotional Clarity and Body Awareness on Posttraumatic Grow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강은하 ( Kang Eunha ) , 신현숙 ( Shin Hyeonsook )
DOI 10.21509/KJYS.2023.11.30.11.1
UCI I410-ECN-151-24-02-089014562

이 연구의 목적은 여자대학생들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더라도 신체자각의 영향이 유의한지 검증하는 것이다. 여자대학생 12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외상경험, 정서인식명확성, 신체자각,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단계에 투입된 외상 경험 당시의 외상자각 수준과 최근의 외상자각 수준이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2단계에 투입된 정서인식명확성은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변수로 밝혀졌다. 셋째, 3단계에 투입된 신체자각의 6요인 중 감각복귀와 신뢰가 시기별 외상자각 수준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을 경험한 여자대학생들이 신체감각을 자각하여 정서적 고통을 조절하고 자신의 신체가 안전하다고 믿는 것이 외상 후 성장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정서인식명확성의 영향을 넘어서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외상을 경험한 여자대학생들의 외상 후 성장을 돕는 개입 설계에 주는 시사점과 이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body awareness on posttraumatic growth(PTG) of female college students after controlling for those of the pain perception level and emotional clarity. Data on traumatic experience, emotional clarity, body awareness and PTG of 125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survey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In the first step of the analysis, both the pain perception level at the time of trauma and the current pain perception level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of PTG. In the second step, emotional clarit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PTG. In the third step, of the six body awareness factors, two factors(self-regulation, trust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TG even after the influences of the pain perception level and emotional clarity were controlled for. The results indicate that body awareness regulating emotional pain and trusting the safety of one’s own body may be helpful to PTG. Finall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PTG intervention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traumatic experience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