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8.113.111
3.148.113.111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박성희 ( Seong-hui Park ) , 손승희 ( Seung-hee Sohn )
청소년학연구 30권 3호 133-156(24pages)
DOI 10.21509/KJYS.2023.03.30.3.133
UCI I410-ECN-0102-2023-000-00106841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 총 3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SPSS 25.0, SPSS Macro 3.5를 통해 분석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낮음을 자기일치라 표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제-이상 자기일치, 자기자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자비는 실제-이상 자기일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실제-이상 자기일치와 자기자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제-이상 자기일치가 자기자비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를 경험하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심리 내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함께 개입해야 함을 시사하며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n=321) nationwide and analyzed through SPSS 25.0 and SPSS Macro 3.5. First of all, in this study, the low Actual-Ideal Self-Discrepancy was called Self-Consistenc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Actual-Ideal Self-Consistency, Self-Compassi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Self-Consist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Perceived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Self-Consistency and Self-Compassion. Fourth,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Self-Consist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Compa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intervened togeth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experiencing Actual-Ideal Self-Discrepanc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