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0.198.12
3.140.198.12
close menu
KCI 등재
불안과 주도적 대처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을 통한 의도적 반추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of Anxiety and Proactive cop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al Rumination through Emotional Clarity
남상예 ( Nam Sang-ye ) , 이희경 ( Lee Hee-kyung )
청소년학연구 28권 3호 367-391(25pages)
DOI 10.21509/KJYS.2021.03.28.3.367
UCI I410-ECN-0102-2023-300-000519310

본 연구는 불안과 주도적 대처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의도적 반추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및 대학원생 291명을 대상으로 불안, 주도적 대처,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를 측정하고 SPSS 22와 SPSS Macro를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과 주도적 대처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주도적 대처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불안과 주도적 대처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을 통한 의도적 반추의 조절된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불안이 주도적 대처로 가는 구체적인 경로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에서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motional clarity and intentional rumination hav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proactive coping. For this purpose, 291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were surveyed to measure anxiety, proactive coping, emotional clarity, and intentional rumination,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using SPSS 22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proactive coping. Second, intentional rumin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intentional rumination. Third, anxiety effects on proactive coping through emotional clarity, and intentional rumination has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n empirical basis for a specific path for anxiety to lead proactive coping. Based i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in the counseling scene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