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50.131
18.116.50.131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상담에서 욕구확인이 청소년의 분노정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firmation of the Needs behind Anger in youth counseling
정갑선 ( Jeong Gapseon ) , 박순조 ( Park Soonjo ) , 김영근 ( Kim Youngkeun )
청소년학연구 26권 5호 221-250(30pages)
DOI 10.21509/KJYS.2019.05.26.5.221
UCI I410-ECN-0102-2023-300-000525916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분노정서에 욕구확인처치개입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모의상담방식을 적용한 실험설계로 청소년 60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무선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 동영상과 회상기법으로 분노정서 활성화 조작을 하였고, 연구조작 확인을 위해 SAM척도와 혈압을 측정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설정된 분노정서, 정적정서, 혈압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나서 실험집단에는 욕구확인처치를, 비교집단에는 동일한 시간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집단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변화수준을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노정서는 실험집단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정적정서는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반면 비교집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혈압은 실험집단의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비교집단에 비해 낮아져 욕구확인처치가 생리적 반응의 변화에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서 이면 욕구를 확인하는 처치는 분노정서를 낮추는데 효과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정적정서의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혈압을 낮추고, 경험에 대한 수용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xperimentally the effects of needs confirmation treatment behind the anger of adolescents. Total number of 60 adolescents were participa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Both groups were manipulated to activate anger by video and emotional recall and confirmed emotional activation with SAM and blood pressure. Dependent variables, anger, positive emotion and blood pressure were conducted before experiment and after experiment on both groups and then analyzed by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First, needs confirmation treatment was effective in lowering anger and increasing positive emotions. Second, it was also effective in lowering systolic blood pressure.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willingness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conclusion, needs confirmation treatment behind the anger appears to be an effective not only decrease negative emotion, but also increase positive emotion. It also appears to decreas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promoting the level of willingnes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