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126.254
3.147.126.254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수치심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김송연 ( Kim Songyeon ) , 홍혜영 ( Hong Hyeyoung )
DOI 10.21509/KJYS.2018.09.25.9.49
UCI I410-ECN-0102-2023-300-000523412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남녀 대학생 576명(남자 279명, 여자 297명)이었으며,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자비,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해서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하였고, AMOS 21.0을 이용해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수치심, 사회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자기자비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자비는 수치심, 사회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수치심은 사회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자비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치심은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자비와 수치심은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불안을 다루는 상담 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evaluative concerns about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Altogether 576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279 male and 297 female), a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evaluative concerns of perfectionism, self-compassio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scale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mediation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aluative concerns about perfectionism positively correlated with shame and social anxiet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mpassion, while self-compass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shame and social anxiety, and sham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Second, self-compassion mediated between university students’ evaluative concerns about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ird, shame mediated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evaluative concerns about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ourth, self-compassion and shame both mediated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evaluative concerns about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can be used when counseling is provided for social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