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206.232
3.145.206.232
close menu
KCI 등재
아동기 외상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과 자기개념 및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Early Adulthood Interpersonal Problem: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Self-Concept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최나윤 ( Nayun Choi ) , 이영호 ( Young-ho Lee )
청소년학연구 25권 2호 137-166(30pages)
DOI 10.21509/KJYS.2018.02.25.2.137
UCI I410-ECN-0102-2023-300-000532615

본 연구는 아동기 외상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과정에서 초기부적응도식과 자기개념 및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지 검증함으로써 아동기 외상의 영향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07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경험, 초기부적응도식, 자기개념, 정서조절곤란, 대인 관계 문제를 포함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를 초기부적응도식, 부정적인 자기개념,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기부적응도식은 다른 두 매개변인인 자기개념과 정서조절곤란을 선행하고, 자기개념은 정서조절곤란에 선행하는 경로 모형이 적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self-concept,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early adulthood interpersonal problems using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07 early adult. The study measured childhood trauma,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self-concept and early adulthood interpersonal problems. In analyzing data, this study employed statistical terms and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the structural equational model(SEM) by SPSS 21.0 and AMOS 20.0 program. Results indicated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self-concept,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fully mediated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early adulthood interpersonal problems.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preceded before the other mediator, or self-concept an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concept preceded befor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several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