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문헌이나 묘지명에 보이는 낙랑 관련 인물의 성씨는 주로 韓氏와 王氏이다. 이들성씨는 『史記』 조선전의 韓陰과 王唊에서부터 찾아진다. 이들과 연관된 인물이 낙랑군 주민 중 ‘토착 조선인’에 해당한다. 낙랑군 시기인 기원후 30년 즈음에 난을 일으킨 王調도 마찬가지라 여겨진다. 한편 낙랑군 420여 년을 크게 前期와 後期로 구분할 경우, 전기는 國邑體制가 유지되어 토착적 성격이 드러난 사회라면, 후기는 점차 郡縣體制가 강화되면서 중국 문화의 영향으로 ‘토착 조선인’의 漢化가 이루어진 시기라고 본다. 이때 낙랑군 지배를 위하여 漢에서 이주해 온 官人이나 대외무역에 종사하던 商人및 정치적 이유로 인해 도망해 온 사람 등 소규모 인원이 ‘移住漢人’으로 구분 가능하다. 한편 고조선 이래 중국 세력에서 벗어나, 고조선 사회에 정착해 있던 낙랑군 사회의 ‘土着漢人’들은 중국의 차별적인 정책에 의해 ‘逸民’이라 자칭하면서 자신을 위안했다고 여겨진다. 이처럼 후기를 경과하여, 낙랑군 멸망 이후 이미 漢化된 한 씨・왕 씨 등 낙랑 계통 ‘토착 조선인’ 성씨 집단은 慕容燕의 僑郡인 낙랑군 등 중국 사회로 이주해 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중국 왕조의 중앙 정치에 진출하여 활동한 존재로 낙랑과의 연관성을 내세우며 기자 계승 의식을 갖고 있었던 인물들이 있다. 이러한 인물들은 王波의 후손인 王禎・王基를 비롯하여, 王舒등이 묘지명을 통해 확인된다. 이들이 중국 北魏・北周왕조 때 왕실과 통혼하면서, 자신의 가문도 朝鮮侯였던 기자의 후손임을 강조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으로써 묘지명에 기자와 자신 가문의 혈연적 연계를 주장하는 기자 계승 의식이 남게 되었다고 본다. 그러나 낙랑군 존속 시기에 한씨나 왕 씨 집단이 기자 계승 의식을 갖고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 경우 『唐書』 등에 고구려에는 箕子神을 섬기는 淫祀가 있었다는 기록이 주목된다. 고구려가 낙랑 지역과 그 백성을 포섭하였음을 감안한다면, 낙랑군 당시에도 ‘토착 조선인’ 사회 특히 낙랑 계통 한 씨・왕 씨 집단에서는 기자의 존재를 자신 가문의 祖先으로 인식했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그러한 인식은 낙랑군 당시에 크게 강조되지 못했을 것이다. 낙랑 계통 인물 또는 가문의 기자 계승 의식 강조는 6세기 초 북위・북주에서 왕실 인물과 통혼을 하게 됨에 따라, 자신들이 가계도 고대 조선의 왕실 가문이었음을 내세울 필요에서 비롯한 것이라 보인다.

Family names related with Nakrang are mainly ‘Han’ and ‘Wang’, which can be proved by several references or epitaphs. These family names come up from ‘Han Eum(韓陰)’ and ‘Wang Gyeop(王唊)’ who were recorded in Joseonjeon(朝鮮傳), a part of 『Saki(史記)』. They are the natives of Nakrang, so-called "Native people of Joseon (土着朝鮮人)", who had been living in Nakrang since Old Joseon. Wang Jo(王調), who broke out rebellion in about 30 A.D. known as the period of Nakrang Commandery, is also considered to be descended from the Wangs.
When we divide the 420 years of Nakrang Commandery into former and latter period, native cultural disposition occurs in the former period, when the society was under the feudal system(國邑體制). In the latter, centralizing system with local administration(郡縣體制) gradually settled down and the culture of the native people of Joseon harmonized with Chinese’, which can be defined as ‘Hanwha(漢化)’. Governers(官人) who came to rule Nakrang Commandery, merchants(商人) who were engaged in international trade, and several people who made an escape from political reasons are classified as ‘Immigrant Hans(移住漢人)’. Due to their immigration, it seems that ‘Native Hans(土着漢人)’ in Nakrang society who had settled down with the natives since Old Joseon comforted themselves by self-addressing ‘Ilmin(逸民), under the discriminative policy from China.
After the fall of Nakrang Commandery, it is considered that families of the natives including the Hans and the Wangs who had already adapted Chinese culture (Hanwha), moved to temporarily so-called Nakrang-kyogoon(僑郡), at Moyong state(慕容燕), China. There are several personages who entered the political world of Bukwee(北魏), Bukjoo(北周) dynasty, keeping consciousness of inheriting Kija associated with Nakrang. They were engraved on epitaphs, known as Wang Jung(王禎), Wang Ki(王基), Wang Seo (王舒), the descendants of the Wangs.
They got married to royal family of Bukwee, Bukjoo dynasty, emphasizing that they were also the descendants from Kija, who once was a king of Old Joseon. In this process, epitaphs showing the consciousness of inheriting Kija were made to insist their relationship with Kija. However, it isn’t sure that the Hans or the Wangs had been inheriting Kija during the period of Nakrang Commandery. In this case, 『Dangseo(唐書)』 becomes the key, as it says there was Eumsa(淫祀), serving Kija as a god, in Goguryeo. Considering Goguryoe embraced the region of Nakrang, the natives, especially the Hans and the Wangs, recognized Kija as their ancestor in the Nakrang period.
However, this awareness might not had been significant at that time. It seems that the consciousness of inheriting Kija or personages of Nakrang descendants became crucial in about 6th century, on account of their need to insist their royalty from Old Joseon dynasty to get engaged to royal family of Bukwee, Bukjoo dynasty.

목차

〈국문초록〉
1. 序言
2. 樂浪 關聯 人物의 姓氏 資料
3. 樂浪 關聯 姓氏의 實體
4. 樂浪 關聯 墓誌銘 箕子 繼承 意識의 實相
5. 結語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911-001884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