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7164.jpg
KCI등재 학술저널

웅포산 홍차의 미백 활성 효과

Whitening effect of black tea extracts of Ungpo Region, Korea

  • 37

전라북도 웅포 지역의 찻잎으로 만든 홍차에 대한 멜라닌 생성,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측정을 통해 미백 활성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홍차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125, 250 μg/mL 농도에서 양성 대조군인 Kojic acid 보다 더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Tyrosinase의 활성에 대해 홍차 추출물 62.5 μg/mL 이상의 모든 농도에서 효소활성이 50% 억제되었다.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α-MSH)에 의해 과발현 되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tyrosinase realted protein(TRP)-1 mRAN에 대해 홍차추출물 62.5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억제되었으며 특히 250 μg/mL 농도에서 양성 대조군 보다 더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RP-2, MITF mRAN에 대해서는 250 μg/mL 농도에서 발현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전북 웅포 지역의 찻잎을 원료로 하여 만든 홍차는 멜라닌 생성 억제와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미백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기전은 홍차의 폴리페놀 등에 의한 항산화 효과, 멜라닌 생성에 기여하는 유전자 발현 억제 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결론적으로 웅포 홍차는 식의약소재로 활용 가치가 높아 고유의 테아플라빈류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연구를 통해 고부가 소재화가 기대된다.

Black tea is one of the most popular fancy drinks in the world. Black tea commonly referred to as oxidative fermented tea . In the oxidative fermented phase, simple phenolics converse into more complex polyphenols such as theaflavins and thearubigins. Recently, the consumption of black tea has increased in Korea. Even though, various compositions and biological effects have been researched about black teas produced in Korea, there have not been evaluated about black tea of Ungpo region, Korea.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whitening effect black tea of Ungpo region, tyrosinase activities, melanin contents assay and the mRNA ex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IFF), tyrosinase-related protein(TRP)-1, and TRP-2 in B16F10 melanoma cells were performed with 50% ethanol extract of Black tea(BTE). BTE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in α-MSH stimulated-B16F10 melanoma cells. The effects of BT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TE also suppressed the MITF, TRP-1 and TRP-2 mRNA levels which were associated with tyrosin synth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the protein levels of MITF and TRP-2 by 250 μ g/mL of BTE were lower than them by Kokic acid(100 μ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hitening effects of BTE is due to suppression of tyrosinase activities, melanogenesis, mRNA, and protein levels associated with melanin synthesis. In the conclusion, BTE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cosmeceutical industry and inner beauty fields utilizing the property of whitening.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