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돈황사본 S.2748에 인용된 문헌들의 고찰을 통해 그 사상사적 위치를 추적하였다. 고찰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본업경소』에는 북조의 여러 경록에 기재된 경전들이 함께 인용되어 있으며, 그 중에는 『선비보살경』, 『무진의경』과 같이 이후 지론학파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경전들이 포함되어 있다. 다만 『무진의경』의 경우 『대집경』에 수록된 형태로 인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2) 『본업경소』에는 여러 부분에서 『십지경론』이 인용되고 있다. 그 중 42계위설의 해석은 기본적으로 『영락본업경』에 의지하고 있지만, 십지(十地) 부분만은 『십지경론』의 내용으로 주석되어 있다. 3) 『본업경소』와 『십지론의소』는 거의 동일한 형태의 구절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것으로 보았을 때 『본업경소』가 법상(法上) 주변에서 성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이 구절을 기준으로 문헌 성립의 선후 관계를 배정할 수 있다면 『본업경소』가 『십지론의소』보다 선행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4) 『본업경소』와 『십지론의소』의 상응 구절에는 “초지에서 삼계를 벗어난다”는 지론학파의 설이 전제되어 있으며 이는 『본업경소』의 작성 이전부터 지론학파의 교설이 성립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본업경소』에는 『영락본업경』의 설을 따라 “7지에서 삼계를 벗어난다”는 설도 등장하기 때문에 당시 지론학파 내에서 두 가지 설이 아직 정리되지 않은 채로 공존하고 있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5) 『본업경소』와 긴밀한 연관성을 보이는 문헌으로는 또 다른 돈황사본인 『인왕실상론』이 있다. 양 문헌은 분명한 상응 구절을 지니고 있으며, 서로 간에 참조해야만 이해될 수 있는 내용들을 담고 있다. 한편, 『본업경소』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인용되고 있는 지론학파의 교리들이 『인왕실상론』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두 문헌이 동일한 그룹에서 찬술되었다는 점, 그리고 동일한 그룹 안에서도 사상적인 변천과정이 일어난다는 점을 시사한다.

키워드

지론학파, 돈황사본, 『보살영락본업경』, 『본업영락경소』, 『십지경론』, 『십지론의소』, 『인왕반야실상론』

참고문헌(32)open

  1. [기타] / T 大正新脩大藏經

  2. [기타] / X 卍續藏經

  3. [기타] / S 대영도서관 소장 Sir Aurel Stein(1862-1943) 장래(將來) 돈황한문문헌

  4. [기타] / P 파리 국립도서관 소장 Paul Pelliot(1878-1945) 장래(將來) 돈황한문문헌

  5. [기타] / 1924 / 大正新脩大藏經 / 大正一切經刊行會

  6. [단행본] 國書刊行會 / 1989 / 卍新纂大日本續藏經(卍新纂續藏) / 國書刊行會

  7. [단행본] 黃永武 / 1981 / 敦煌寶藏 / 新文豊出版公司

  8. [단행본] 磯部彰 / 2005 / 中村不折舊蔵禹域墨書集成 : 台東区立書道博物館所蔵 / ニ玄社

  9. [단행본] 金剛大學校佛敎文化硏究所 / 2012 / 藏外地論宗文獻集成 / CIR

  10. [단행본] 佛書解說大辭典編纂會 / 1968 / 佛書解說大辭典 第7,8卷 / 大東出版社

  11. [단행본] 靑木隆 / 2012 / 藏外地論文獻集成 / CIR

  12. [단행본] 矢吹慶輝 / 1980 / 鳴沙餘韻: 敦煌出土未傳古逸佛典開寶 編著 1: 解說編 / 臨川書店

  13. [단행본] 佐藤哲英 / 1981 / 續·天台大師の硏究: 天台智顗をめぐる諸問題 / 百華苑

  14. [단행본] 石井公成 / 1996 / 華嚴思想の研究 / 春秋社

  15. [단행본] 大野法道 / 1963 / 大乘戒經の硏究 / 理想社

  16. [단행본] 鳴沙余韻 / 1980 / 燉煌出土未伝古逸仏典開宝 1: 解說編 / 臨川書店

  17. [학위논문] 이자평 / 2010 / 『보살영락본업경』의 보살사상 연구

  18. [단행본] 김천학 / 2017 / 지론종 연구 / CIR : 335 ~ 365

  19. [단행본] 박보람 / 2017 / 지론종 연구 / CIR : 221 ~ 252

  20. [학술지] Thi Van Anh Vo / 2017 / On the Bhūmi Theory in the Bodhisattvabhūmi / 印度學佛敎學研究 65 (3) : 1250 ~ 1255

  21. [단행본] 靑木 隆 / 2000 / 北朝隋唐中國佛敎思想史 / 法藏館 : 179 ~ 201

  22. [단행본] 靑木 隆 / 2010 / 地論思想の形成と變容 / 國書刊行會 : 44 ~ 64

  23. [단행본] 荒牧典俊 / 2000 / 北朝隋唐中國佛敎思想史 / 法藏館 : 13 ~ 85

  24. [학술지] IKEDA MASANORI / 2016 / 慧遠 『大般涅槃經義記』의 성립과정에 대하여 - 현행본 『大般涅槃經義記』 권7과 돈황사본 『涅槃義疏』 第七卷(P2164)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동아시아불교문화 (26) : 143 ~ 181

  25. [단행본] 大竹 晉 / 2017 / 地論宗の研究 / 國書刊行會 : 137 ~ 190

  26. [단행본] 大竹 晉 / 2017 / 地論宗の研究 / 國書刊行會 : 865 ~ 901

  27. [학술지] 妻木直良 / 1926 / 燉煌本仁王般若実相論に就て / 宗敎研究 3 (2) : 71 ~ 84

  28. [학술지] 藤谷昌紀 / 2002 / 敦煌本『本業瓔珞経疏』の引用経論について / 大谷大学大学院研究紀要 19 : 103 ~ 125

  29. [학술지] 藤谷昌紀 / 2005 / 『菩薩瓔珞本業経』の諸本について:敦煌写本S.3460を中心に / 印度學佛敎學研究 54 (1) : 25 ~ 30

  30. [학술지] 船山 徹 / 1996 / 疑経『梵網経』成立の諸問題 / 仏敎史学研究 39 (1) : 54 ~ 78

  31. [학술지] 水野荘平 / 2009 / 五十二位の菩薩階位説の成立について / 印度學佛敎學研究 57 (2) : 775 ~ 780

  32. [학술지] 山口弘江 / 2011 / 『十地論義疏』と『大乘五門十地実相論』-周叔迦說の検討を中心として / 東洋學研究 48 : 117 ~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