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수선사는 무신정권기에 불교계의 변화를 주도하였던 결사이며, 간화선을 수용하였던 주체로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나아가 신앙결사론이 통설로 자리 잡으면서 수선사는 고려후기 불교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지표로서 중시되었다. 그러나 신앙결사론과 달리 수선사 결사는 사회변혁적인 성격이 없으며, 불교계 개혁운동을 지향하지도 않았다. 수선사는 일반적인 염불결사와 달리 선 수행에 중점을 둔 승가 중심의 수행공동체를 지향하였다. 신앙결사론의 주장과 같이 결사라는 프레임으로 운동사적 시각에서 수선사를 평가하는 것은 고려후기 불교사의 이해를 축소시키거나 전체상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종래의 이해와 달리 수선사는 12~13세기 고려불교계에서 송대선의 수용과 이해를 주도한 선문으로 존재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수선사가 편찬, 간행하였던 선적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공안집인 『선문염송집』은 송의 문자선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반영된 선적이다. 이러한 성격은 이 책에 무사선과 문자선의 폐단을 비판하였던 원오극근의 『벽암록』이 전혀 수록되지 않았다든지, 방대한 대혜의 착어가 모두 공안 비평으로 일관되는 것에서 잘 드러난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은 『선문삼가염송집』, 『선문염송설화』 등의 편찬으로 이어졌으며, 수선사뿐만 아니라 희양산문, 가지산문 등 다른 선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일연의 『조정사원』, 『선문염송사원』 등과 혼구의 『중편염송사원』 등은 문자선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14세기 초까지 성행하였던 사실을 잘 보여준다. 한편, 문자선의 성행은 선시의 유행, 사상계 전반적인 송대 시문학의 수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소식, 황정견, 각범혜홍 등의 문학적 영향은 고려의 사대부뿐만 아니라 선승들에게도 폭넓게 드러난다. 수선사의 경우, 6세인 충지에게 이러한 경향이 구체적으로 잘 드러난다. 따라서 수선사는 12~13세기에 송대선을 수용하는 대표적인 선문으로 존재하였다. 또한 수선사의 사상적 동향은 당시 사상, 문화계에서 폭넓게 이루어진 송대 문화의 수용, 이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수선사, 신앙결사, 공안선, 문자선, 『선문염송집』, 송대 문화, 강서시파

참고문헌(22)open

  1. [단행본] / 1984 / 韓國佛敎全書(4~6) / 동국대학교 출판부

  2. [단행본] 柳田聖山 / 2000 / 禪學典籍叢刊 5 / 臨川書店

  3. [단행본] / 1986 / 高麗名賢集 2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4. [기타] / 高麗大藏經, 大正新脩大藏經

  5. [학술지] 김영미 / 2000 / 고려 전기의 아미타신앙과 결사 / 정토학연구 3 : 145 ~ 178

  6. [단행본] 박재금 / 1998 / 한국선시연구-무의자 혜심의 시세계- / 국학자료원 : 71 ~ 202

  7. [학술지] 박재현 / 2004 / 혜심(慧諶)의 선사상과 간화(看話) / 철학 (78) : 29 ~ 50

  8. [단행본] 이진오 / 1997 / 한국불교문학의 연구 / 민족사 : 368 ~ 425

  9. [학술지] 이종묵 / 1995 / 이인로의 한시작법과 시세계 / 한국한시작가연구 1 : 109 ~ 131

  10. [학술지] 진성규 / 1984 / 高麗後期 修禪社의 結社運動 / 한국학보 36 : 2 ~ 29

  11. [학술지] 진성규 / 1992 / 정혜결사의 시대적 배경에 대하여 / 보조사상 5・6 : 21 ~ 43

  12. [학술지] 조명제 / 2010 / 一然의 선사상과 宋의 禪籍 / 보조사상 33 : 189 ~ 221

  13. [단행본] 조명제 / 2015 / 선문염송집 연구-12~13세기 고려의 공안선과 송의 禪籍- / 경진출판사 : 17 ~ 337

  14. [학술지] 조명제 / 2015 / 수선사의 공안선 이해와 『선문삼가염송집』 / 禪學(선학) (41) : 39 ~ 77

  15. [학술지] 조명제 / 2017 / 고려후기 공안선의 수용과 『남명천화상송증도가사실』 / 불교학연구 50 : 119 ~ 143

  16. [학술지] 조명제 / 2017 / 일본·한국 중세불교사 연구와 종교개혁 담론 / 역사와경계 (105) : 1 ~ 39

  17. [학술지] 최병헌 / 1987 / 수선결사의 사상사적 의의 / 보조사상 1 : 9 ~ 24

  18. [단행본] 최병헌 / 1996 / 知訥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255 ~ 313

  19. [단행본] 채상식 / 1991 / 고려후기불교사연구 / 일조각 : 11 ~ 154

  20. [단행본] 채상식 / 2013 / 한국불교사연구입문 상 / 지식산업사 : 413 ~ 439

  21. [단행본] 小川隆 / 2010 / 續・語錄のことば『碧巖錄』と宋代の禪 / (財)禪文化硏究所 : 2 ~ 256

  22. [단행본] 小川隆 / 2011 / 語錄の思想史 / 岩波書店 : 151 ~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