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葬儀文化こそは、おいそれと簡単に変更することが難しい伝統的な風習であると言える。しかし、百 婆の朝鮮式の葬儀文化が連綿と続いてきたのは、残された子孫の繁榮と連結された死後の安心保証体 制というものがあったからである。百婆が主張する朝鮮式葬儀の死後の安心保証システムとは、自分が生 きている間に、親の扶養ならびに代々の先祖が埋葬された家族の墓を守り祭祀を行うことで、自分の死後 も子孫が代々そうしてくれることから、死後も安心できるというものである。これは、辛島十藏が親を扶養し て皿山の家や財産をきちんと保存し、それが次の世代に繼承されていくという、皿山生活共同体としての十 藏の家が存續、保証されていることと関係がある。

키워드

참고문헌(13)open

  1. [학술지] 노성환 / 2014 / 일본 아리타의 조선도공 이참평에 관한 연구 / 일어일문학 (62) : 293 ~ 313

  2. [학술지] 노성환 / 2010 / 일본에서 신이 된 임란포로에 관한 연구 / 일어일문학 (46) : 395 ~ 415

  3. [학술지] 노성환 / 2009 / 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조선도공에 관한 일고찰 / 일어일문학 (42) : 303 ~ 323

  4. [학술지] 방병선 / 2003 / 심포지움 2 : 계룡산의 도자문화 ; 조선 도자의 일본 전파와 이삼평 / 백제문화 (32) : 261 ~ 271

  5. [단행본] 김태준 / 1977 / 임진란(壬辰亂)과 조선문화(朝鮮文化)의 동점(東漸) / 한국연구원 : 77 ~ 101

  6. [단행본] 송천호 / 2005 / 일본의 장례문화 / 명지대학교출판부 : 20 ~ 58

  7. [단행본] 배영기 / 2006 / 죽음에 대한 문화적 이해 / 한국학술정보 : 235 ~ 258

  8. [단행본] 이은봉 / 1995 / 여러 종교에서 보는 죽음관 / 가톨릭출판사 : 87 ~ 169

  9. [단행본] 이은봉 / 2000 / 한국인의 죽음관 / 서울대학교출판부 : 1 ~ 63

  10. [단행본] 이재운 / 2001 / 한국인의 사후세계관 / 전주대학교출판부

  11. [단행본] 조명철 / 2002 / 일본인의 선택 / 다른세상 : 1 ~ 267

  12. [단행본] 井上治代 / 2004 / 현대 일본인의 삶과 죽음 / 중문 : 1 ~ 67

  13. [단행본] 이와타 시게노리 / 2009 / 일본 장례문화의 탄생 / 소화출판 : 1 ~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