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351.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신출산갈등을 경험한 여성의 위기갈등과 선택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Pregnancy and Childbirth Crisis/Conflict and Their Decision Process

  • 99

본 연구는 임신출산갈등을 겪는 여성의 위기갈등 경험과 선택의 과정 전반을 탐색하고 향후 임신출산상담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집방법에 근거하여 임신출산갈등을 경험한 총 12명의 여성을 선정하고, 그들을 직접 개별 면접하거나 그들의 경험을 기술한 서면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분석자료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개방) 코딩방식에 따라 주제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질적분석 결과, 총 69개의 의미단위, 22개의 하위범주,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임신출산갈등 경험을 설명하는 6개의 범주는 ‘삶의 위기가 된 임신’, ‘임신출산갈등의 심화’, ‘상황에 의해 결정된 선택’, ‘선택의 방향성을 정하며 최선의 선택’, ‘선택의 결과를 수용하며 꾸려가는 삶’, ‘임신출산갈등 상담서비스에 대한 바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신출산갈등 상담 시 고려할 부분과 임상실천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 of women who have had a crisis/conflict and made a choice in relation to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counseling. Methods: The authors used a purposive sampling method to select 12 cases of women with crisis/conflict experiences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collecting data via direct interview or by obtaining a written text describing their experience. An inductive (open) coding approach was utilized to draw themes from the data. Results: A total of 69 meaning units were found, which were then organized into 22 subcategories, and 6 categories. The 6 categories describing crisis/conflict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 “pregnancy turning into a life crisis”, “worsening of pregnancy and childbirth conflict”, “decision-making driven by situation”, “making a choice with a sense of direction”, “moving on with life by embracing the consequences”, and “hopes for counseling services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crisis/conflict”. Conclu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for counseling services on women having crisis/conflict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