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ADHD 아동․청소년에 관한 연구동향 및 가족치료 중재연구 현황 분석 -1996년~2017년 발간된 국내 전문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 on ADHD Child/Adolescent and Family Therapy Intervention in Korea -Based o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1996 to 2017 in Korea-

가족과 가족치료
약어 : -
2018 vol.26, no.3, pp.455 - 474
DOI : 10.21479/kaft.2018.26.3.455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연구분야 : 기타사회과학
Copyright © 한국가족치료학회
26 회 열람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17년까지 전문 학술지에 실린 ADHD 아동․청소년의 연구동향과 가족치료 중재연구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KCI) 중 ADHD 아동․청소년 관련 논문 44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별, 유형별,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그 중 가족치료중재 관련논문 12편에 대해서 연구시기별, 중재주제, 중재전략, 중재기간, 중재치료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96년 한 편의 논문을 시작으로 60% 이상이 2010년대 이후 발표되었으며, 연구유형 중 조사연구가 3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ADHD 아동 및 청소년과 관련된 주제로 부모의 양육경험(30.4%), 양육스트레스(13.0%), 부모양육태도(8.7%)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치료 관련 주제로 가족기능, 가족관계, 가족상호작용, 형제관계, 가족체계 등이 다루어졌다. 가족치료 중재전략으로는 매체활용가족놀이치료, 부모-자녀상호작용치료, 인지행동치료와 부모교육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중재기간은 10회기 이하(50%)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가족치료 중재 결과 나타난 변화로는 가족체계의 변화, 아버지의 양육참여, 부부갈등감소, 문제행동변화 등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ADHD 아동․청소년에 대한 향후 연구의 방향 및 가족치료 중재연구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between 1996 and 2017 regarding ADHD child and adolescent, and it analyzed the status of family therapy intervention studies. Methods: A total of 44 articles on ADHD child and adolescent were selected from KCI and analyzed by study period, type, and subject. Among them, twelve papers related to family therapy interventions were analyzed by study period, intervention subjects, intervention strategies, intervention period, and intervention treatment factors. Results: 15 papers were published in 2012 and 2013, compared to one in 1996, and 34.1% of the articles were research-focused. Subjects related to ADHD children and adolescents included parenting experience (30.4%), parenting stress (13.0%), and parenting attitude (8.7%). Family therapy intervention subjects included “family function,” “family relationship,” “family interaction,” “brotherhood,” and “family system.” Family therapy intervention strategies included “family play therapy using media,”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parent education.” The intervention period was the highest at 50%, with less than 10 sessions. Finally, “changes in family system intervention,” “father 's participation in parenting,” “marital conflict reduction,” and “change in problem behavior” were reported as factors that changed the results of the family therapy interventions. Conclusions: The authors discusse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on ADHD children and adolescents, as well as research on family therapy interventions.

ADHD 아동․청소년, 가족치료 연구동향, 중재연구
ADHD child and adolescent, research trends, intervention, family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