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APIM 모델 적용

Mindfulness, Conflicts with Parents-in-Law, and Marital Satisfaction: Applying the Actor-Partner Independence Model

가족과 가족치료
약어 : -
2017 vol.25, no.4, pp.761 - 785
DOI : 10.21479/kaft.2017.25.4.761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연구분야 : 기타사회과학
Copyright © 한국가족치료학회
20 회 열람

본 연구는 부부간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마음챙김이 조절하는지를 상호작용 관점에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40대 기혼부부 192쌍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18.0으로 APIM 분석방법을 적용하고,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ing 접근법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 수준은 부인이 남편에 비해 높았으며, 마음챙김 수준은 남편이 부인보다 높았고, 결혼만족도는 남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이 본인의 결혼만족도와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부인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남편은 부인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 보다 자신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이 본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며, 부인은 남편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에 의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인과 남편 모두 마음챙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섯째, 남편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자기효과가 확인되었고, 남편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남편의 마음챙김이 높은 집단은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부는 남편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남편의 마음챙김에 따라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onflicts with parents-in-law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if mindfulness has an effect on this associa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192 married couples in their 20s, 30s, and 40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t Model (APIM) and with Ping’s approach to path analysis. Results: First, while the husbands’ conflict with parents-in-law had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effects, th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of both the husband and the wif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more strongly affected by their own conflict with the parents-in-law than the wife’s conflicts with parents-in-law; however, the wives’ marital satisfaction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husband’s conflicts with parents-in-law. Third, both the wife’s and the husband’s mindfulness had no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Fourth, the husband’s mindfulness had significant moderating actor and partner effects. Fifth, higher levels of husbands’ mindfulnes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husband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s: Couples we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husband’s conflict with parents-in-law, and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varied in relation to the husband’s mindfulness.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 결혼만족도, 마음챙김, APIM, 조절효과
APIM, conflict, in-laws, marital satisfaction, mindfulness

  • 1. [학위논문] 강혜경 / 2013 / 다문화 가정의 고부갈등 요인과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농촌지역 거주 결혼이주여성과 시어머니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2. [학술지] 권정혜 / 2000 / 부부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 19 (2) : 207 ~ 2
  • 3. [학술지] 김문정 / 2010 / 공동양육 조모의 손자녀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경험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15 (3) : 137 ~ 3 kci
  • 4. [학위논문] 김미정 / 2001 / 부부들이 지각하는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 5. [학위논문] 김병화 / 2013 / 부부의 자기분화가 가족분화와 결혼만족도 및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6. [학위논문] 김선녀 / 2013 / 기혼남성이 지각하는 원가족 규칙과 부부의사소통이 옹서갈등에 미치는 영향
  • 7. [학위논문] 김수연 / 2001 /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 8. [학위논문] 김순숙 / 2012 / 중년기 기혼 남·녀의 자기분화, 자아존중감,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9. [학술지] 김승옥 / 2013 / 기혼남녀의 마음챙김과 일치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과 가족치료 / 21 (2) : 203 ~ 2 kci
  • 10. [학술지] 김시연 / 2010 /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15 (2) : 189 ~ 2 kci
  • 11. [학술지] 김유경 / 2015 / 가족변화에 따른 가족갈등양상과 정책과제 / 한국보건복지포럼 / 228 : 49 ~
  • 12. [학위논문] 김의진 / 2014 / 중년부부의 부부갈등, 여가경험, 결혼만족도의 관계
  • 13. [학위논문] 김재경 / 2014 / 고부갈등과 이에 대한 남편의 대처방식이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14. [학위논문] 김창현 / 2015 / 농촌 다문화가족의 고부갈등 : 전라북도 부안군 결혼이주여성 사례를 중심으로
  • 15. [학위논문] 김태연 / 1995 / 고부갈등과 이에 대한 대처방식이 며느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16. [학위논문] 김현재 / 2007 / 원가족 규칙과 분화 및 양성평등의식이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17. [학위논문] 김혜리 / 2011 / 기혼남성이 지각하는 장모지지와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 장모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 18. [학위논문] 김혜선 / 2011 / 옹서관계에서 여성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친정어머니에게 양육지원을 받는 여성을 중심으로
  • 19. [학위논문] 남궁 임 / 2009 / 자기분화 수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배우자의 자기분화 수준을 중심으로
  • 20. [학술지] 박상규 / 2013 / 자아존중감과 마음챙김의 관계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18 (4) : 881 ~ 4 kci
  • 21. [학위논문] 박성현 / 2006 / 마음챙김 척도 개발
  • 22. [학위논문] 박성혜 / 1995 / 며느리가 지각한 고부갈등과 며느리의 결혼만족도의 관계
  • 23. [학위논문] 박성호 / 2001 / 부부의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 24. [학술지] 박영화 / 2005 /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19 (1) : 71 ~ 1 kci
  • 25. [학위논문] 박진옥 / 2011 / 결혼이주여성가족의 부부관계 및 고부관계에서 나타나는 적응과 갈등
  • 26. [학위논문] 배대길 / 2016 / 남편이 지각한 장모와의 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아내의 의사소통유형을 매개로
  • 27. [학위논문] 여영주 / 2016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와 아동 문제행동의 관계 : 영성,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8. [학위논문] 유승연 / 2010 / 마음챙김 명상이 화병 증상과 우울, 불안,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 29. [학위논문] 유연지 / 2006 / 부부의 원가족 특성과 고부·옹서 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30. [학술지] 유연지 / 2008 / 부부의 원가족 특성과 고부․옹서 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13 (4) : 433 ~ 4 kci
  • 31. [학위논문] 윤애란 / 2012 / 부부갈등과 결혼적응과의 관계에서 지혜의 조절 효과
  • 32. [학위논문] 이건해 / 2016 /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33. [학위논문] 李琦淑 / 1985 / 한국가정의 고부갈등 발생원에 대한 요인분석
  • 34. [학위논문] 이미현 / 2012 / 고부관계에서 며느리의 자아존중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35. [학위논문] 이상열 / 2013 / 부부갈등과 성적 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36. [학위논문] 이선희 / 2000 / 부부의 MBTI 성격유형의 유사성과 의사소통 및 결혼 만족도의 관계
  • 37. [학위논문] 이우경 / 2008 /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38. [학위논문] 이은아 / 2013 / 장모-사위 갈등, 자기분화가 사위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39. [학술지] 이정은 / 2000 /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 19 (3) : 531 ~ 3
  • 40. [학술지] 이지은 / 2007 / 기혼여성의 마음챙김과 부부의사소통패턴, 결혼만족도의 관련성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12 (3) : 331 ~ 3 kci
  • 41. [학위논문] 이현 / 2010 / 고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과 비난의 매개를 중심으로
  • 42. [학위논문] 이현주 / 2016 / 고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남편의 자아분화를 중심으로
  • 43. [학술지] 임선영 / 2014 /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감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 국제신학 / 16 : 233 ~
  • 44. [학위논문] 정경주 / 2014 / 기혼남녀가 지각한 심리적 독립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45. [학위논문] 정문경 / 2012 / 마인풀니스(Mindfulness), 정서조절, 지각된 배우자지지, 결혼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 46. [학위논문] 정복자 / 2016 / 부부의 마음챙김, 내외통제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형(APIM)적용
  • 47. [학위논문] 정옥희 / 2011 /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가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48. [학술지] 정옥희 / 2011 /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통합치료연구 / 13 (2) : 51 ~ 2
  • 49. [학위논문] 정은희 / 2004 / 원가족분화, 자아존중감과 부부 갈등대처방식에 따른 결혼안정성 연구
  • 50. [학술지] 정혜은 / 2008 /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 한국인구학 / 31 (1) : 147 ~ 1 kci
  • 51. [학위논문] 정화숙 / 2010 /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관계증진 훈련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52. [학술대회] 정화숙 / 2013 / 중년기 기혼남녀의 마음챙김, 부부 스트레스 및 부부 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2013 (1) : 395 ~ 1
  • 53. [학술지] 정화숙 / 2014 / 마음챙김에 기초한 관계증진 훈련이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19 (1) : 43 ~ 1 kci
  • 54. [학위논문] 정희정 / 2009 / 원가족 분화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 고부·옹서갈등을 매개변인으로
  • 55. [학위논문] 최연우 / 2010 / 원가족 건강성, 부부친밀감,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56. [학위논문] 최연우 / 2015 / 고부갈등이 자부의 화병과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부친밀감과 자아분화의 조절효과
  • 57. [인터넷자료] 통계청 / 2014년 사회조사보고서 (보건, 교육, 안전, 가족, 환경)
  • 58. [인터넷자료] 통계청 / 2016년 사회조사보고서 (보건, 교육, 안전, 가족, 환경)
  • 59. [인터넷자료] 통계청 / 한국의 사회동향 2017 (가족과 가구, 인구, 건강, 교육, 문화와 여가)
  • 60. [학술지] 한정균 / 2008 / 마음챙김 수준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행복요인의 매개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0 (3) : 735 ~ 3 kci
  • 61. [학위논문] 홍순건 / 2006 / 건강한 부부의 특징 : 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 62. [보고서] 홍승아 / 2016 / 가족형태 다양성 논의를 위한 사회적 기구 운영방안 연구
  • 63. [학위논문] Ades, L. / 2003 / Predictors of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ughter s- in - law and mothers-in-law
  • 64. [학술지] Bryant, C. / 2001 / The Influence of In-laws on Change in Marital Success /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 63 (3) : 614 ~ 3
  • 65. [학술지] Burpee, L. C. / 2005 / Mindful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 12 (1) : 43 ~ 1
  • 66. [학술지] Carrere, S. / 1990 / Predicting divorce among newlyweds from the first three minutes of a marital conflict discussion / Family Process / 38 : 292 ~
  • 67. [학술지] Carson, J. W. / 2004 / Mindfulness-based relationship enhancement / Behavior Therapy / 35 : 471 ~
  • 68. [학술지] Gottman, J. M. / 1992 / Marital processes predictive of later dissolution : Behavior, physiology, and health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63 : 221 ~
  • 69. [학술지] Hamarta, E. / 2013 / The prediction level of mindfulness and locus of control on subjective well-be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 5 (2) : 145 ~ 2
  • 70. [단행본] Kline, R. B. / 1998 /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The guilford press
  • 71. [학술지] Ping, R. A. / 1995 / A parsimonious estimating technique for interaction and quadratic latent variables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42 (3) : 336 ~ 3
  • 72. [학술지] Ping, R. A. / 1996 / Latent variable interaction and quadratic effect estimation : A two-step technique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 Psychological Bulletin / 119 (1) : 166 ~ 1
  • 73. [학술지] Sabatelli, R. M. / 2003 /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and adjustment in married couples /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 65 : 159 ~
  • 74. [학술지] Wachs, K. / 2007 / Mindful relating : Exploring mindfulness and emotion repertoires in intimate relationships /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 33 (4) : 464 ~ 4
  • 75. [단행본] West, S. G. / 1995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 Sage : 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