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일-가족 분담 패턴에 내재한 젠더 질서의 지속성: 첫째 자녀 출산 전후 부부의 경제활동 시퀀스를 중심으로

Consistency of Gender Order in Work-Family Division Patterns: Analysis on Career Sequence of Marital Couples before and after First-Childbirth

가족과 문화
약어 : 가족과문화
2012 vol.24, no.2, pp.182 - 209
DOI : 10.21478/family.24.2.201207.006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일반
Copyright © 한국가족학회
115 회 열람

이 글은 KLIPS 자료를 이용하여 1950년대와 60년대의 출생코호트별로 유자녀 기혼부부의초기양육기 일-가족 분담 패턴에 내재한 젠더 질서의 변화(지속)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가족/친밀성 영역에서의 후기 근대적 변화를 탈가족화와 재가족화의 이중성으로 인식하는벡과 벡-게른샤임의 논의, 부부들의 일-가족 분담 결정을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 ‘자기 책임’으로 만들어버림으로써, 젠더 전형적인 삶을 강화하고 재생산하는 개인화의 역설에 대한논의들을 검토하였다. 부부의 직업경력은 초산 전년도에서 초산 후 2년까지 총 4년 동안의경제활동상태를 1년 단위로 구분하여 총16개의 경제활동 시퀀스를 만든 후, 이를 양육기 취업지속형, 양육기 취업단절형, 재취업형, 양육기 후 진입형, 미취업 지속형의 5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런 다음, 남편과 아내의 직업경력을 통합하여 전통형, 역할역전형, 노동전념형, 역할교대형, 노동축소형의 5가지 일-가족 분담 유형을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의 출산과 양육기 동안 부부들이 노동시장과 가족책임을 분담해 온방식은 최근까지 성별분업의 전통적 모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특히 최근 코호트에서남편들의 고용이 불안정해지고 근로소득도 불충분해지고 있음에도 전통적 모델이 지배적인점은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의 물질적 기반은 해체되고 있으나 여전히 가족과 노동시장의 주요작동 원리로 남아있어 가족의 불안정성을 더욱 가중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gender order in the work-family division patterns of marital couple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hildbirth by birth cohort from 1950s to 1960s, based on KLIPS data. For this end, this study also deals with the argument of Beck-Beck Gernsheim who recognizes post-modern changes in family/intimacy as duplicity of de-familization and re-familization, and a paradox of individualization that enhances and reproduces a typical lifestyle of gender by considering the decision on work-family division as individuals’ reasonable choice or their own responsibilities. Couples’ career is classified into five types by creating 16 work career sequences through classifying economic activities for four years (from the year before first childbirth to two years after first childbirth):consistent employment during childcare; suspension of employment during childcare;employment after childcare; consistent unemployment. Then, work-family division pattern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models by integrating career of husband and wife: traditional model; reverse role model; labor-concentrated model; shift role model; cut-down labor model.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first childbirth and childcare, most couples belong to a traditional model in division of family responsibilities and labor market. Especially, according to the recent cohort, although the employment of husbands is not stable and their wages are insufficient, the traditional model is dominant. These factors are the main causes of instability of family because male breadwinner model has lost its basis but still remains as the main working force in family and labor markets.

일-가족 분담, 젠더 질서, 탈가족화, 재가족화, 시퀀스, 직업경력
work-family division, gender order, de-familization, re-familization, work career sequence

  • 1. [단행본] 강이수 / 2009 / 노동시장의 변화와 일-가족 관계, In 일, 가족, 젠더: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 한울아카데미 : 52 ~
  • 2. [학술대회] 김영옥 / 2002 / 여성의 동태적 노동공급: 취업연속성과 첫 노동시장 퇴출행태를 중심으로 / 여성의 생애와 취업: 여성의 취업실태조사 학술세미나 : 131 ~
  • 3. [학술지] 김혜경 / 2012 / ‘개인화’와 ‘위험’ ―경제위기 이후 청년층 ‘성인기 이행’의 불확실성과 여성내부의 계층화― / 페미니즘연구 / 12 (1) : 35 ~ 1 kci
  • 4. [학술지] 남재량 / 1999 / 우리나라 여성 노동력 상태의 동태적 특성연구 /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 21 : 115 ~
  • 5. [학술대회] 마경희 / 2012 / 라이프코스 자료수집 방법으로서 생애사 달력(LHC) /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 연계학술대회 : 39 ~
  • 6. [학술지] 문혜진 / 2010 / 생애과정 관점에 대한 고찰과 적용 -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 / 사회복지연구 / 41 (3) : 349 ~ 3 kci
  • 7. [학술대회] 박경숙 / 2002 / 한국여성의 생애: M자형 취업곡선과 저출산력에의 함의 / 여성의생애와 취업: 여성의 취업실태조사 학술세미나 : 159 ~
  • 8. [학술지] 박경숙 / 2005 /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요인: 계층혼, 성역할 분리규범,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 / 한국인구학 / 28 (2) : 33 ~ 2 kci
  • 9. [학술지] 박소진 / 2009 / ‘자기관리’와 ‘가족경영’ 시대의 불안한 삶 : 신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적 주체 / 경제와 사회 (84) : 12 ~ 84 kci
  • 10. [학술지] 박수미 / 2002 /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 한국사회학 / 36 (2) : 6 ~ 2 kci
  • 11. [학술지] 백진아 / 2009 / 한국의 가족 변화: 가부장성의 지속과 변동 / 현상과 인식 / 33 (1) : 204 ~ 1 kci
  • 12. [학술지] 손문금 / 2005 /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페미니즘연구 / 5 : 239 ~
  • 13. [학술지] 신경아 / 2010 / 저출산대책의 쟁점과 딜레마 ─ 여성 없는 여성정책 ─ / 페미니즘연구 / 10 (1) : 89 ~ 1 kci
  • 14. [학술지] 안병철 / 2010 / 한국 사회의 성역할 변화: 현황과 대응 / 사회와 이론 (17) : 257 ~ 17 kci
  • 15. [학술지] 안호용 / 2000 / 한국 가족 변화의 사회적 의미 / 한국사회 / 3 : 89 ~
  • 16. [단행본] 울리히 벡 / 1997 / 위험사회 / 새물결
  • 17. [단행본] 울리히 벡 / 2006 / 사랑은지독한(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 새물결
  • 18. [단행본] 한상진 / 2010 / 위험에 처한 세계와 가족의 미래 / 새물결출판사
  • 19. [학술지] 유홍준 / 2010 /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구학 / 33 (1) : 75 ~ 1 kci
  • 20. [보고서] 이병희 / 2010 /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Ⅰ : 우리나라의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 실태
  • 21. [단행본] 이여봉 / 2008 / 가족 안의 사회, 사회 안의 가족 / 도서출판 양서원
  • 22. [학술지] 조윤경 / 2012 /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 내재한 젠더 질서 - ‘아버지됨’과 ‘근대적 남성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 / 여성학연구 / 22 (1) : 35 ~ 1 kci
  • 23. [학술지] 한준 / 2001 / 최적일치법을 이용한 남녀간 직업배열의 분석 / 노동경제논집 / 24 (1) : 149 ~ 1
  • 24. [학술지] 함인희 / 2002 / 한국 가족의 위기 : 해체인가, 재구조화인가? / 가족과 문화 / 14 (3) : 7 ~ 3 kci
  • 25. [학술지] 황정미 / 2005 / 저출산'과 한국 모성의 젠더정치 / 한국여성학 / 21 (3) : 99 ~ 3 kci
  • 26. [단행본] Beck, U / 2002 / Individualization: Institutionalized individualism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 Sage
  • 27. [학술지] Becker, P.E. / 1999 / Scaling back: Dual-earner couples' work-family strategies /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 61 : 995 ~
  • 28. [단행본] Bjőrnberg, U. / 2005 / Individualism and Families : Equality, Autonomy and Togetherness / Routledge
  • 29. [단행본] Born, C. / 2003 / Changes in Family Roles and Arrangements Between Generations: An Indicator for the Modernization of Gender Relations?, In Social Dynamics of the Life Course: Transitions, Institutions, and Interrelations / Aleine de Gruyter
  • 30. [학술지] Brückner, H. / 2005 / De-standardization of the life course: What it might mean? And if it means anything, whether it actually took place? / Advances in Life Course Research / 9 : 27 ~
  • 31. [학술지] Bynner, J. / 2005 / Rethinking the Youth Phase of the Life-course: The Case for Emerging Adulthood? / Journal of Youth Studies / 8 (4) : 367 ~ 4
  • 32. [학술지] Chang, K. / 2010 / The stranded individualizer under compressed modernity: South Korean women in individualization without individualism /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 61 (3) : 539 ~ 3
  • 33. [단행본] Furstenberg, F. / 2004 / Reflections on the Future of the Life Course, In Handbook of the Life Course / Springer : 661 ~
  • 34. [학술지] Krüger, H. / 2001 / Linking life courses, work and the family : Theorizing a not so visible nexus between women and men / Canadian Journal of Sociology / 26 (2) : 145 ~ 2
  • 35. [학술지] Levy, R. / 2002 / Modern family or modernized traditionalism?: Master status and the gender order in Switzerland / Electronic Journal of Sociology / 6 (4)
  • 36. [단행본] Moen, P. / 2003 / Linked Lives: Dual Careers, Gender, and the Contingent Life Course, In Social Dynamics of the Life Course: Transitions, Institutions, and Interrelations / Aleine de Gruyter : 237 ~
  • 37. [학술지] Settersten Jr, R. A. / 2010 / What's Going on with Young People Today?: The Long and Twisting Path to Adulthood / The Future of Children / 20 (1) : 19 ~ 1
  • 38. [단행본] Williams, J. / 2000 / Unbending Gender: Why Family and Work Conflict and What to Do About It /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