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 및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EO’s Emotional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79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자료는 서울 및 경기지역을 주요 기반으로 하는 일반 기업체(공기업 및 중소기업을 포함한 일반기업, 단, 공공기관 제외)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820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은 학습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은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습조직을 매개로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고, 학습조직은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여 조직유효성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은 학습조직과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여 조직유효성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이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여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조직과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도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었다.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감성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때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of the CEO, learning organization,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positive PsyCa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EO’s emotional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rganization an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positive PsyCap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Second, learning organization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positive PsyCap. Third, CEO’s emotional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employees’ positive PsyCa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earning organization ha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positive PsyCap. Also, CEO’s emotional leadership ha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employees’ positive PsyCa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uld be better understood with the outcomes of the interrelated antecedents such as CEO’s emotional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employees’ positive PsyCap.

Abstract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