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실내공간에서 패브릭의 확산효과를 활용한 LED 조명 디자인의 특성 및 경향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LED Lighting Design Using diffusing Effect of Fabric in Interior Space

한국디자인포럼
약어 : -
2011 no.31, pp.29 - 40
DOI : 10.21326/ksdt.2011..31.003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24 회 열람

실내공간에서 빛은 단지 밝기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넘어 하나의 소재로 인식되고 있다. 실내공간에서는 빛을 확산이 중요하기 때문에 조명기구에 있어 확산성과 빛의 효과를 고려한 투과면 소재의 선택이 필요하다. LED가 실내공간으로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LED의 특성에 최적화된 조명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LED는 소형화된 점광원, 글레어 방지를 이유로 빛의 확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ED 조명 확산소재로써 패브릭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패브릭의 확산효과를 활용한 LED 조명 디자인의 특성 및 경향을 연구하기 위해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형태적 특성과 표현 특성으로 분류했다. 사례들을 형태적 특성으로 분석한 결과 패브릭을 활용한 LED 조명이 독립적인 조명기구형태에서 공간에 일체화된 형태로 확장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패브릭의 표현 특성인 드레이프성, 신축성, 촉감에 따라 다른 확산면이 형성되어 빛 확산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LED 조명의 확산소재로써 패브릭이 디자인적 측면에서 형태적 자유도와 다양한 빛 확산효과의 장점이 있음을 보여준다. 패브릭 소재의 활용을 통해 스마트 라이팅 테크놀로지를 이질감 없이 자연스럽게 실내 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light in interior space is being recognized as a material itself rather than just a thing that provides the brightness. Because of importance of the diffusion of light in interior, the choice of material considering the effects of diffusion and transmission of light is needed in lighting fixtures. In particular, there has to be an urgent research in regard to a mechanism of the diffusion of light on account of minimized light point resource, straightness of the light, and the protection of glare. Accordingly in this study, selected cases were analyzed to present a possibility of the usage of fabric as diffusing material and study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LED lighting design utilizing diffusion of fabric. Basis of analysis is classified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and expres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analysis according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LED lighting utilizing fabric extends from a form of independent lighting fixture to a form unified in a space appeared. Also various diffusion surface formed and diffusing effect of light appeared to express characteristics of fabric such as drape, stretch, and tactile impres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fabric, a diffusing material of LED lighting has an advantage of morphological freedom and various lighting diffusion effects as in design aspect. It is expected to have smart writing technology applied to an interior environment in a natural way without a sense of difference through a utilization of fabric material.

LED 조명, 확산소재, 패브릭
LED lighting, Diffusing material, Fabric

  • 1. [단행본] 나카지마 다쯔오키 / 1997 / 조명디자인 입문 / 예경
  • 2. [학위논문] 오승남 / 2007 / 지각과 인지를 바탕으로 한 실내공간의 빛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3. [학술지] 이기호 / 2009 / Polycarbonate 필름 제조 기술 동향 / 고분자과학과 기술 / 20 (1) : 17 ~ 1
  • 4. [학위논문] 최문희 / 1996 / 블라인드를 위한 직물Pattern 연구
  • 5. [인터넷자료] 백종협 / LED. Journal of Materials & Components Technology Network
  • 6. [인터넷자료] / nendo
  • 7. [인터넷자료] / dix heures dix
  • 8. [인터넷자료] / molo design
  • 9. [인터넷자료] / Kristin Birna Bjarnadottir BA in Product design
  • 10. [인터넷자료] / media architecture
  • 11. [인터넷자료] / Jordan Parnass Digital Architecture
  • 12. [인터넷자료] / Barbara Bona
  • 13. [인터넷자료] / Fabric Architecture
  • 14. [인터넷자료] / UNStudio
  • 15. [인터넷자료] / Tony Hogg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