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 장혜원 (제주대학교)
  • 최상훈 (제주대학교)
  • 서광용 (제주특별자치도)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보호구역에서 추진되는 생태관광은 관광커먼즈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관광커먼즈는 자원의 이질성과 관련 주체들의 다양성으로 특징된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위해 관광커먼즈의 관리는 이해관계자들이 학습과 협업을 통해 불확실한 생태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적응형 공동관리’ 모델을 통해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람사르습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제주 선흘리 동백동산을 사례로 적응형 공동관리 모델을 적용하여 관광커먼즈 관리모델을 개발하였다. 3년간의 참여관찰과 다수의 심층면접을 통해 이론연구와 현장연구를 유기적으로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적응형 공동관리 모델이 관광커먼즈 관리에 적용가능한 방식으로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었다. 둘째, 관광관리시스템에 사회생태계이론을 적용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관광커먼즈 관리는 거버넌스 패러다임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관광시스템이론에 사회생태계 모델을 적용시킨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적응형 공동관리 프로세스가 관광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에 많은 이해관계자를 참여시키고, 사회적 학습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질적연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제약이 있음을 들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 연구에서 제안한 관리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Ecotourism promoted in protected areas often uses tourism commons. However, since tourism commons are characterized by heterogeneity of resources and diversity of related subjects, it has been argued that adaptive co-management is appropriate for the management model of tourism commons because stakeholders can flexibly respond to uncertain situations through learning and collaboration.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tourism commons management model by applying an adaptive co-management model to the Dongbaek Garden in Sunheul-ri, Jeju,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a Ramsar Wetland Reserve. Fieldwork was conducted organically in parallel with theoretical research for three year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a number of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daptive joint management model has some validity as a method applicable to tourism commons management. Second, the necessity of applying social ecosystem theory to the tourism management system was confirm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ourism commons management can be explained by a governance paradigm.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the management system of local resource-based ecotourism needs to be approached as a social ecosystem model. On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the adaptive co-management process involves many stakeholders in decision-making for tourism management and strengthens social learning.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as it conducts qualitative research.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ACM 모델개발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