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한국 커피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커피 페어링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사람은 간단한 아침 식사로 커피와 음식을 먹기 때문에 커피 페어링에 대해 별로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최근 젊은 사람들이 커피 페어링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커피 페어링을 과학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커피 초창기에는 단순히 커피와 음식을 섞어서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카페의 경쟁력을 강화하거나 커피산업의 새로운 길을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커피 페어링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특히, 커피 페어링에 과학적으로 주목하거나 과학적으로 규명하여 커피 페어링 메뉴를 개발하고 상품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커피산업 발전을 위한 커피 페어링 연구를 통한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커피 페어링을 이용한 판촉 및 마케팅 전략이다. 둘째, 독특하고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커피 페어링 연구 지원 및 확대이다. 셋째, 카페의 기능적 변화를 위한 스토리와 가치를 브랜딩하여 커피 페어링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노력을 지속한다면 한국 커피산업의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또한, 커피산업에서의 새로운 분야가 창출되고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생태계 구조가 형성될 것이다.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목적을 위한 커피 이미지와 역할을 만들기 위해서는 커피 페어링 연구도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특히 커피와 매칭되는 음식 연구가 과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화해야 할 분야는 분명히 외식업과의 협업이다. 이는 커피산업뿐만 아니라 한국 외식산업 전반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환경에서 모두가 공존할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on coffee pairing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coffee industry. In the past, it was common to simply mix coffee and food to eat. However, in the present, coffee pairings that can be combined in various way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caf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coffee pairing menus by scientifically identifying and paying attention to coffee pairing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ree ways through coffee pairing research for sustainable coffee industry development. First,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using coffee pairings are needed. Second, support and expansion of coffee pairing research that provides a unique and differentiated experience are important. Third, the coffee pairing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by branding with stories and value for the functional transformation of cafes. If these efforts are undertak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coffee industry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In addition, new industrial fields will be created and a virtuous cycle ecosystem structure will be formed that leads to job creation. In particular, the field that needs to be strengthened so that coffee pairing research can be done scientifically is clearly collaboration with the food service industry. This will be an opportunity for everyone to coexist not only in the coffee industry but also in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the entire Korean restaurant industr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및 현황분석
Ⅲ. 커피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326-001641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