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 전혜원 (부경대학교)
표지
이용수
내서재
1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기본 어순이 아닌 도출 어순에서 화자가 언어를 사용하는데 부담을 보이는 현상과 화자가 일반적으로 기본 어순을 선호한다는 경향에 대한 심리언어학 관점의 실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언어를 이해하고 산출하는 데 포함되어 있는 심리적 과정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하는 학문인 심리언어학에서 문장 해석의 선입관은 내재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특정 유형에 대한 경험 또는 학습의 결과에 의해서 만들어진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 유형에 대한 경험치는 선호도와 빈도수를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선호도와 빈도수가 문장해석에 선입관을 형성한다는 심리언어학의 PDC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mprehension)이론에 입각하여, 화자가 모국어의 기본 어순과 다른 어순을 보이는 언어의 습득 시에 보이는 현상을 연구 할 것이다. 여러 학자에 따르면 화자는 기본 어순이 아닌 도출 어순의 문장 처리에 심리적 부담(processing load)을 느낀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처럼 격 표시자를 가진 언어인 일본어와 핀란드어 실험 심리학 연구를 토대로 실시간 온라인 읽기 실험(real time reading response)을 실시한다. 그리하여 어순이 달라지는 문장의 처리에 있어 어순이라는 변인을 기존의 통사적 처리 관점이 아니라 심리언어학에서 말하는 화자의 특정 유형 선호라는 관점으로 접근 할 것이다. 이를 한국어 화자의 영어 의문문 습득이라는 차원으로 확대하여 원어민 화자와 의문사 구문처리를 비교해보고 한국어 화자가 영어 주어/목적어 의문문 처리 시에 달라지는 어순에 의한 영향을 받는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겠다.

Human languages differ in the amount of word order flexibility they perm it. On an intuitive level, native speakers often feel that one of the orders is the basic. It means those speakers can have “biases” to prefer some specific word order as a basic one.
In this thesis, I suggested two assumptions from a psycholinguistic perspective. First, there exists psychological reality to have difficulty in processing English Object wh-question for Korean speakers. Second, Korean learners of English prefer a canonical word order(SOV, SVO), not scrambled one(OSV). If there is an order preference, then the preferred order should produce shorter reading times than the non-preferred one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eferred one requires less parsing effort than the non-preferred one.
To test these predictions, I measured the reading times for Subject and Object wh-Question in English by doing on-line real time tasks. In conclusion, Korean learners of English have a bias to prefer a canonical word order. And this caused Korean learners of English to have difficulty in processing English Object wh-Questions.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실험 결과 분석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