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에게 직지가 관광문화재로써 활성화할 수 있는 문화 마케팅 및 문화정책적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은 직지 문화재를 지역특성에 맞춘 관광적 요소에 직지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와 매력성을 혼합시킬 수 있는 관광 상품들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관광객들에게 지역 주민들이 관광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지역안내, 가격, 서비스 등에 있어 시, 군별로 교육과 홍보 등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둘째,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은 타 문화재 관광과 차별적인 요소꺼리를 만들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여야 하고, 직지 문화재의 존재가치를 높일 수 있는 인쇄의 기술 및 당시의 생활상 등이 타국에 비해 어떤 점에서 차별성이 존재하는지를 강조함으로써 직지 문화재의 존재가치를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은 지금보다 더 직지관광이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크다는 점을 강조해야 할 것이고, 나아가 관광에서 타인에게 자랑할 수 있는 독특한 킬러 컨텐츠 등을 개발하여 관광객들에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은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직지 문화재가 얼마나 우수한 문화유산인지를 인식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지 문화재가 관광적 요소로 부가가치가 높다는 것도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직지 문화재 관계자들은 지역민 및 관광객들에게 직지 문화재가 특정 지역에 존재한다는 것에 자부심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직지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value, existence value, heritage value, pride, and show on satisfaction, and suggests cultural marketing and cultural policy suggestions for Jikji cultural assets to activate Jikji as tourism cultural assets. Was intended.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ikji cultural property officials should develop tourism products that can mix Jikji cultural properties with the image and attractiveness of Jikji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by city and county in providing local information, prices, and services for tourist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Second, Jikji cultural property officials should suggest ways to create differentiating elements from tourism of other cultural properties. By emphasizing the existence, the existence value of Jikji cultural property should be increased. Third, Jikji cultural property officials should emphasize that Jikji tourism is more valuable as cultural heritage than now, and develop unique killer contents that can be boasted to others in tourism and present it to tourists. Fourth, Jikji cultural property officials should prepare a plan for local residents to recognize how excellent cultural heritage is. It should also be recognized that Jikji cultural property has high added value as a tourist factor. Lastly, Jikji cultural property officials should promote various jikji projects to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to increase their pride and awareness that Jikji cultural property exists in a certain area.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3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